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슝안신구(雄安新區) 전면적 개혁개방 확대 지원방안 수립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국무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9-01-25
  • 등록일 2019-02-28
  • 권호 137

□ 중국 국무원은 허베이성 슝안신구의 개혁개방 확대 지원 관련 지도의견을 발표(’19.1.)


  * 허베이성 일대(1,779㎢)지역으로, 제2의 수도를 목적으로 2035년까지 자율주행, 인공지능 등 차세대 정보기술, 바이오 등 분야를 기반산업으로 하는 스마트 시티 조성 목표


○ 허베이성은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성) 신구 구축 발표 이후, 추가적으로 혁신발전 도시구축을 위한 목표 설정  


 - 2022년까지 베이징시의 비수도 기능과 인구 분산, 2035년까지 전면적 개혁심화 및 개방 확대 조치 구체화, 2050년까지 국제적 영향력 강화
 

< 슝안신구 주요도시 분포 현황  >

2.PNG

   * 출처: 홍콩명보, 신화통신
  ※ 슝안신구로 지정된 허베이성 슝(雄)현, 롱청(容城)현, 안신(安新)현 등 3개 현의 GDP를 모두 합치면 200억 위안이 조금 넘어 베이징 전체 GDP의 1% 수준


○ 슝안신구 건설의 3대 키워드는 스마트, 친환경, 혁신이며, 개혁개방 확대를 위한 주요방안을 제시 


 1) 혁신 추진력 강화 및 현대 경제체제 구축


 - 국유기업의 슝안신구 이전을 지원하고, 국유자산 감독체제를 구축하여 효율적 시장화 시스템 구축


 - 북경의 고성장 과학기술 기업을 유치하여 첨단 하이테크산업 발전 및 기존 전통산업 현대화 지원 


 - 북경 소재 과학연구기관, 국가실험실 국가기술혁신센터 등 국가급 과학기술 혁신플랫폼을 신구에 배치하고, 슝안신구 중관촌 과기원 건설 지원


 - 시장활동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 관여를 최소화하고, 혁신을 장려하고 실패를 관용하는 환경 조성 및 중소‧벤처기업 발전 정책 수립 


 2) 도시 거버넌스 시스템 개선 및 스마트 시티 구축


 - 과학적 도시계획 설계 기준 체계를 수립하고 인프라, 도시건축 등 표준화를 추진하여 현대 도시계획 건설관리의 모델 제공


 - 도시관리를 네트워크화, 디지털화, 지능화하고, 비즈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센터 건설로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시티 관리 모델 구축


 3) 공공서비스 공급 메커니즘 혁신


 - 북경소재의 대학 이전, 특색 있는 직업학교 창설, 분원 설립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기관의 이전 지원


 - 외국의 독자 의료 자문기구 설립을 허용하고, 건강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주기 라이프 사이클의 건강관리 실현 


 4) 인재 선발·영입 메커니즘 혁신


 - 슝안신구의 발전수요에 맞춘 인재정책 수립, 특별한 인재에 대한 파격적 대우, 전문 기술인력 및 고급인재가 필요한 분야의 유연한 채용 시스템 마련


 - 지식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과학연구기관과 대학의 임금 분배제도 개선, 중국 내 연구기관, 대학, 국유기업의 과학기술 인력의 겸직이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


 - 해외 인재의 귀국을 장려하는 혁신 창업 서비스 체제 구축 및 해외 인재의 유치를 위한 출입국 관리제도 개선, 외국인 혁신창업자의 거류 편의 제공


 5) 국내‧외 개방 확대 및 개방형 거점 구축


 - 외국인 독자 및 중외합자금융기관 설립을 통해 지분투자 제한 완화, 외화계정관리모델 혁신으로 다국적기업 분사가 슝안신구 내 외화자금 운영 허용


 - 슝안신구와 주변 교통 인프라의 상호 연계를 추진하고, 제조업, 과학연구, 금융, 인터넷, 문화관광 등에서 협력을 강화 지원


 - ‘일대일로’ 건설에 관한 국제협력 플랫폼을 우선적으로 구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