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커넥티드 카 산업발전 행동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고신망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1-23
- 등록일 2019-02-28
- 권호 137
□ 공업정보화부는 ‘커넥티드 카 산업발전 행동계획’을 발표(’19.1.)
○ 커넥티드 카는 차량 네트워크와 스마트 자동차의 유기적 제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본 행동계획에서는 커넥티드 카 산업의 단계별 목표 제시
※ 최종 목표는 사람을 대신하는 새로운 시대의 자동차로 지능형자동차, 무인자율주행차로 지칭
- (1단계) 2020년까지 커넥티드 카 산업의 사용률 30%에 도달
- (2단계) 2020년 이후에는 기술혁신, 표준체계, 인프라 구축, 규모화된 스마트 그리드 유나이티드 자동차와 5G-V2X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실현
- 사람-차량-도로-클라우드 연결 실현
○ 중국의 커넥티드 카는 자동차산업 기반과 기술개발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완성차의 R&D, 센서, 컴퓨팅 플랫폼 등 분야는 아직 초기단계 수준임
- 전통자동차 제조업은 커넥티드 카 기술 축적과 제품 연구개발에 한계가 있어, 컴퓨팅, 통신과의 융합을 통해 스마트 도로망, 클라우드 제어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시범 등에 표준을 강화해야 함
- 중국은 전기기술과 스마트 네트워킹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있어 정부의 주도적 투자는 장점이나, 상대적으로 기술 기반은 약함
- 해당 산업 관련 기준 및 법규 정비가 상대적으로 지체되어 있음
○ 자동차 제조업 제품 연구개발 제조능력 향상을 위해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핵심 기술 적극 개발 필요
- LTE-V2X, 5G-V2X등 무선통신 네트워크 핵심기술의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지원하고 통신과 컴퓨팅을 포함한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아키텍처를 전면 구축
- 정보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 차량안전시스템 자율에 중점 지원
-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 제휴를 통해 스마트 그리드 자동차 정책, 기술, 표준 법규 등에 대한 교류를 강화하고, WP29, ISO 등 국제기구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