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제조업에 있어서 데이터의 중요성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4-10-02
  • 등록일 2014-11-03
  • 권호 34

□ 상무부(DOC) 산하 경제통계청(ESA)은 향후 제조업 성장의 핵심요인 중 하나로서 데이터를 제시(2014.10.2)


○ 제조업은 미국 GDP의 12.4%(’13)와 1,740만 여개(’13)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주요 산업분야 중 하나


○ 오바마 행정부는 2012년 3월 미국 제조업 활성화 및 혁신을 위한 첨단제조 기술 개발을 위하여 ‘국가 제조업 혁신네트워크(NNMI)'*를 발표


  * National Network for Manufacturing Innovation


- 상무부의 주도로 추진되며, 2014년 회계연도 예산에 10억 달러를 배정


- 2012년 8월 파일럿 프로젝트로 3,000만 달러를 투자해 오하이오 주에 ‘적층가공기술혁신연구소’*를 설립해 운영


  * National Additive Manufacturing Innovation, 3D프린팅 등과 같은 적층가공기술 개발


- 시장조사업체 IDC는 2014년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향후 4년간 3,710억 달러의 순 글로벌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


○ 데이터는 상품의 기획, 디자인에서부터 제조이후 물류과정 등 전 제조주기에 걸쳐 혁신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 


경제통계청은 데이터의 분석․활용을 제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다음의 3가지 경로를 제시


○ (디자인 프로세스)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시제품 제작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최종제품에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할 수 있음


 ※ (예시) Autodesk의 컴퓨터 기반 디자인 소프트웨어인 Dreamcatcher는 높은 정밀성과 다양한 재료 및 성능요건 디자인을 구현,

     볼보와 맥라렌사는 프로토타입 제작 전 특정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선호 데이터를 예측ㆍ활용


○ (공장운영) 공정 전반에 사용되는 데이터 기반 센서기술의 발달에 따라 저렴한 수준에서 효율성 향상, 수율 증가, 불량률 감소

    가능


 ※ (예시) 제약사인 Mecrk, 반도체 기업 Intel등은 제조공정상의 예측모델에 데이터를 적극 활용


○ (공급망) 제조이후 유통 및 물류과정상의 위험 감지 및 감소를 위한 정보의 활용을 통해 효과적 공급망 관리가 가능


 ※ (예시) GE Oil 및 Gas사는 클라우드 기반의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을 통하여 재료, 장비, 서비스를 통합 분석ㆍ활용하고

     있으며, HP는 공급망 통합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최대 50%의 공급소요시간을 단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