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인간과 공존하는 로봇 보급기반 구축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산업경쟁력간담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2-15
  • 등록일 2019-03-15
  • 권호 138

□ 산업경쟁력간담회(COCN)는「인간 공존 로보틱스 보급기반 구축」보고서를 발표(’19.2.)


  * 기업가들이 일본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혁신 정책을 제안하고 관련 활동을 추진하는 단체


○ 인간 공존 로보틱스는 전 세계에 보급되어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최종적으로 일본이 관련 분야에서 세계 공통의 표준 확립이 목표


 - 산업용 로봇과 달리, 인간과 공존하는 로봇은 공공장소 및 일반 가정에서 활용이 가능하여 로봇 관련 전문지식을 갖출 수 있는 관리 표준 및 법 정비가 시급


 - 전 세계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인간 공존 로보틱스 인증시스템 구축


< 산업용 로봇과 인간공존 시장 형성 차이점 > 

4.PNG


○ 인간과 공존하는 로봇 산업화를 위해 기존 인증기관 및 시험기관과 연계하여 필요한 규격 및 기준 필요


 - 향후 인간 공존 로봇 산업화를 위해 산업계와 학계가 더욱 밀접하게 협력하여 혁신적 분야에서의 기술개발을 실용화 단계까지 추진 


○ 연구개발부터, 현장실증 시험, 제품·서비스화를 뒷받침하는 펀드가 필요하므로, 민간 펀드, 은행, 증권 등 금융플랜 구축이 필요


<  로봇 산업화 단계별 지원 펀드 >

5.PNG


 ○ 인간과 공존하는 로봇의 도입은 아직 초기단계이므로, 로봇 산업화의 장애요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


< 인간공존 로봇 장애요인 및 대응방안 > 

구분

장애요인

대응방안

1

- 인간 공존 로봇의 용도가 다양하여 보급된 제품 수가 적기 때문에 규격 및 표준화 어려움

- 기존의 인증·시험기관과 협력하여 규격 및 표준화 추진

2

- 사업화를 고려한 산학협력 로봇의 혁신기술을 개발하는 시스템 부족

- 산학협력 시스템을 마련하여 혁신적 기술 개발

3

- 정부의 교육기관에 대한 공적투자 한계

- 사업화 단계에서 국가 프로젝트가 적으며 민간 투자액이 적음

- 펀드를 마련하여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시스템 구축

4

- 각 단계에서 이해관계자가 각각 가치를 평가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를 총괄하는 기관이 존재하지 않음

- 단계간 연결이 적어 일관된 가치망 미성립

- 연구개발에서 산업화까지 부분적 최적이 아닌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체제 정비

5

- 실용화 후 아직 반완성품인 로봇을 계속 업그레이드시키는 시스템이 없음

- 실용화 후 인간공존 로보틱스 공유 축적데이터를 활용하여 제품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시스템

6

- 로봇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 및 기술, 성능 불일치

- 인간 공존 로보틱스가 받아들여질 수 있는 사회 수용성 구축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