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웨강아오베이 발전계획 요강’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아이미디어리서치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9-02-19
  • 등록일 2019-03-15
  • 권호 138

□ 중국 국무원은 ‘웨강아오베이’(粤港澳大湾区)의 향후 발전 청사진이 담긴 ‘웨강아오베이 발전계획 요강’을 발표(’19.2.)


  * 광동성 9개 도시(광저우, 선전, 주하이, 포산, 중산, 둥관, 후이저우, 장먼, 자오칭)과 홍콩, 마카오를 연결하는 연안 경제권 


○ 2020년까지 광동·홍콩·마카오·대만 지역은 5년 내 도쿄를 넘어 제 1의 베이로 부상할 전망


 - 웨강아오 조성 계획은 ’17년 3월 양회에서 리커창 총리가 언급하면서 본격화 되었으며, 인구 7000만 명, GDP 1조 5000억 달러로 향후 세계 4대 베이가 될 전망


  * 세계 3대 베이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도쿄지역이며, 지역 경제 총량은 높은 편이나, 1인당 GDP, 3차 산업비중, 세계 500대 기업 본사 규모 등은 떨어짐


< 웨강아오베이 포함 도시 인구 분포(단위: 만 명) >

8.PNG


   ※ 총 11장으로 구성된 요강에는 계획 배경, 전략 포지셔닝, 공간배치, 과학기술 혁신, 산업계획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산업계획 내용을 요약 


○ 국제 경쟁력을 갖춘 현대 산업 체계 구축 및 제조업 혁신 생태계 정비


 - 공급측 구조 개혁, 신산업 육성, 신모델 육성, 전통 산업 리모델링, 선진 제조업과 현대 서비스업 발전 가속화, 글로벌 표준에 따른 산업 수준 향상


 - 인터넷·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실물경제에서 융합을 추진하고, 특히 인공지능 산업 발전을 강화


  * 인공지능 핵심산업 규모 계획: ’20년 1,500억 위안, ’25년 4,000억 위안, ’30년 10,000억 위안


 - 로봇, 핵심부품, 스마트 장비 중심으로 스마트 제조장비와 제품 육성


< 웨강아오베이 산업 배치 >

9.PNG


○ 첨단기술 산업 기반에 힘입어 국가급 신구, 국가 혁신시범구 등 첨단 허브 산업을 육성


 - 차세대 IT기술, 바이오, 선진장비제조, 신소재 등을 신산업으로 육성


 - 신형 디스플레이, 차세대 통신기술 5G, 모바일 인터넷, 바이오의약품, 고급의학 진료장비, 유전자 검사, 고성능 집적 회로 등 중점분야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 


< 마카오-홍콩 산업 배치 >

10.PNG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