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혁신 구역을 지원하기 위한 연방정부의 역할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4-10-08
- 등록일 2014-11-03
- 권호 34
□ 브루킹스연구소는 혁신구역(Innovation Districts)의 조성과 성공적 성장을 위한 연방정부의 역할을 제안
(2014.10.8)
○ 혁신구역은 최첨단 연구기관, R&D 집중기업 및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등으로 구성된 지역
○ 혁신구역의 조성과 성공적 성장을 위하여 연방정부가 선도하기 보다는 지방정부의 자체적인 노력이 중요
- 연방정부가 단순히 권한을 지방정부에 위임하기 보다는 지방정부 및 기업의 자발적 노력이 통합적으로 발산되는 형태가 바람직
□ 세부적으로 브루킹스연구소는 연방정부의 역할로 다음 3가지를 제시
○ (기초․응용연구 투자확대) 최근 ‘자동예산삭감제도’*등에 의해 삭감된 기초분야 등에 대한 투자 확대 필요
* 자동예산삭감제도(Sequester) : 미국정부가 재정적자 누적을 막기 위해 시행하는 조치로, 다음 회계연도에 허용된 최대적자
규모
- ‘국가 제조업혁신 네트워크(NNMI)’ 등에 의해 응용분야 연구투자는 확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기초분야의 투자확대가 필요
○ (숙련인력 확대) 과학․기술․공학․수학 등 STEM교육에 대한 투자 확대 및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이민정책 개선 추진
○ (인프라 및 부지 제공) 혁신구역의 지속과 성장을 위한 인프라의 지속적인 투자 확대 및 물리적 부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