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노령인구 지원 신기술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3-05
  • 등록일 2019-03-29
  • 권호 139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산하 노인 지원기술 연구개발팀은 노인의 건강 및 사회참여 기회를 최대화하는 잠재 기술을 발표*(’19.3)


  * Emerging Technologies to Support an Aging Population


○ 트럼프 행정부는 노령화 인구에 대한 해결책을 R&D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신기술을 통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목표 설정   


 - 공동체에서의 개인의 선택의 폭 확대, 도우미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요양원 및 병원 등 건강비용 혜택 확대


  ※ 미국 내 65세 노인인구는 2060년까지 9,500만 명으로 증가해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할 전망


○ 보고서에서는 독립적 생활을 위해 일상생활 활동 보조, 인식 변화, 소통과 사회 상호작용, 개인 이동성, 교통수단 접근성, 의료서비스 접근성 등 6가지 구체적 방법을 제시


1) 일상생활 활동 보조 


  ※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 필요


 - 위생 관리 : 스마트 홈과 센서 기술을 통한 정기적 목욕‧샤워, 건강한 피부 및  치아건강 유지


 - 영양 섭취 : 가상비서와 로봇의 도움으로 1일 영양 요건을 충족시키고 스스로 식사가 가능하도록 지원


 - 약 복용 : 센서, 디지털 알약, 앱 등을 활용해 치료제 복용량 유지


2) 인식 변화


  ※ 인지역량을 모니터링하고, 두뇌 훈련법을 제공하며, 재정적 안정시스템 구축


 - 인지 능력 모니터링 : 원격진료와 모니터링 기술을 통해 추론, 기억, 소통 능력을 정기적으로 평가


 - 인지 능력 훈련 : 인지 훈련 어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을 통해 기본 역량을 개선하고 재활을 통해 인지 역량 회복


 - 재정적 안정 : 금융지식 교육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신원 확인을 위한 웨어러블, 생체 인식 기술 등을 통해 독립적 재정 관리 가능


3) 소통과 사회 상호작용 


  ※ 청각 능력을 돕고, 가족과 지인, 주민 커뮤니티 등 공동체와의 연결 강화


 - 청력 : 무선통신시스템과 언어 인식 역량 및 연산 능력 향상을 통해 효과적 보청기 제공


 - 다양한 커뮤니티와의 소통 : 자동 번역기술과 음석 인식 문서작성 프로그램 성능 개선으로 의사와 환자 간 영어나 전문 의학용어를 번역


4) 개인 이동성


  ※ 자유롭고 안전하게 집 주변과 이웃을 이동할 수 있도록 기여


 - 보행 보조 : 로봇과 웨어러블,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등을 개발해 자택과 거주지 주변 이동을 돕고 감소한 근력과 이동 능력을 보완


 - 회복 : 가상현실, 게임시스템, 스마트홈 기술 등을 통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 내에서 물리적 활동과 건강 회복 활동 가능


5) 교통수단 접근성


  ※ 운전자의 안전과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


 - 운전 :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운전 적합도를 평가하고 운전자 보조기술이나 자율주행차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발전


 - 대중교통 : 길 찾기와 일정 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돕고, 대중교통 수단과 최종 목적지를 잇는 자율주행 네트워크 확보


6) 의료 서비스 접근성


  ※ 정기적인 검진을 위한 진료 배정‧조율 및 헬스케어 서비스 효과성 제고


 - 원격 진료 : 스마트폰, 센서, 인터넷 등을 활용한 원격진료 기술 개발을 통해 의료 서비스 제공 범위와 질 향상


 - 전자진료 계획 : 의료 IT기술과 플랫폼 개발을 통해 현재 전자진료 조율 시스템을 개선하고, 환자, 돌보미, 진료팀 간 진료 계획 공유 


○ 범 분야적으로 노인 지원에 활용되는 이슈로 시스템 수요, 프라이버시‧보안, 스마트 홈 등에 대한 대응이 필요


 - 시스템 수요 : 새롭거나 개선된 통신‧네트워크 인프라, 전자기기 등 요구


 - 데이터 수집‧관리 : 센서 처리‧가공하는 알고리즘의 기능 및 가격 개선


 - 스마트 홈 : 심혈과계 질병 위험 요인, 수면패턴, 사회적 상호관계 등 지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