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2019년 국가 산업 10대 키워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도레이경영연구소
  • 주제분류 경제혁신
  • 원문발표일 2019-02-26
  • 등록일 2019-03-29
  • 권호 139

□ 도레이 연구소는 ’19년 일본 산업의 방향을 분석한 「2019 일본산업 10대 키워드」를 발표(’19.2.)


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 디지털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가치창조가 가능하도록 비즈니스, 시스템을 전략적으로 전환하는 ‘디지털화를 통한 변혁’을 의미


  - 작년 경제산업성은 「DX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18.12.)


  ※ 기업이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사업모델을 변혁하는 동시에 조직, 프로세스, 기업문화를 변혁하여 경쟁우위를 확보


② MaaS(Mobility as a service)


 ○ 기존의 자가용 등 이동수단을 물건자체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로 제공하는 개념


  - 도요타자동차가 ’18년 CES에서 자동차 기업에서 모빌리티 기업으로 변혁을 선언한 것을 계기로 주목


③ 재생에너지 ‘FIT 이후’(VPP*)


  *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 분산된 소규모 발전설비와 전력수요를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 ’09년에 시작된 발전사업차액지원제도(FIT)가 ’19년 이후 종료됨에 따라 대형전력업체 및 전기업체 등이 ‘FIT 이후’를 대비한 사업으로 이행


  - 미쓰이물산&규수전력은 주택용 태양광 발전설비 소유 고객을 대상으로 전기요금 절감 서비스 개시


④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 지적인 사무처리 업무를 컴퓨터에게 대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 RPA는 인간이 정한 규칙을 그대로 자동화 하는 것으로, 규칙 이외의 것은 수행하지 못하나, 규칙 관련 처리는 100% 가능하며 AI에 비해 개발 비용이 저렴


  - 적용 가능한 기능으로 키보드 및 마우스 등 컴퓨터 화면조작 자동화, 디스플레이 화면 문자 및 글자체, 색 판별,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연계 등임


⑤ 이노베이션 거점으로의 중국


 ○ 이노베이션 분야에서 세계 최고로 부상한 중국은 미국에 이어 디지털 선진국으로 발전하였으며 AI 연구 분야도 급속히 성장


  - 13억 인구의 거대한 중국시장을 거점으로 빅데이터를 신속히 축적, 서비스가 미성숙한 가운데 투입하여 경쟁과 도태, 수정을 반복하면서 단기간에 정착


⑥ 스마트 농업(Agri-Tech)


 ○ 고령화로 인해 인력부족이 심각한 농업문제를 농업기계 자율주행, 생육데이터 등 계측 분석을 통한 정밀 관리로 생산성 및 품질 향상


  - 허리보조용 슈트를 개발하여 허리에 가중되는 부담 경감, 농업용 드론을 활용한 농약 살포, 수집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효율적 재배관리 방법 개발 


⑦ 물류테크(물류의 스마트화)


 ○ e-커머스 시장의 급속한 확대 및 심각한 인력부족으로 물류테크(IoT, 로봇, AI 등 기술을 활용한 물류 효율화)를 도입한 기업 증가


  - IoT 기술 실용화로 화물 및 운송기관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실시간 추적관리, AI를 활용한 수급 예측으로 공급망 최적화 실현


⑧ 인프라 보전 및 자기복원재료


 ○ 노후 인프라 유지관리에 AI를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손상된 구조물이 사람의 손을 가하지 않고 스스로 복원되는 재료가 주목


  - 도로, 다리, 터널 등 노후 인프라에 적용, 콘크리트 자동복원기술 판매권 취득


⑨ 지속가능한 사회 및 플라스틱 문제


 ○ 폐 플라스틱 쓰레기가 국제적인 문제로 부상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폐 플라스틱 수입 금지로, 일본 국내에서 처리되는 폐 플라스틱 양이 증가 


  -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은 ’24년 18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


⑩ 신냉전, 미중무역전쟁


 ○ 미국 제일주의 정책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제한조치 발동에 대해 중국이 이에 대항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양국의 갈등이 시작


  - 미‧중 대립이 기업 및 연구기관 교류에 악영향을 끼칠 경우 경제대국 중국의 정체로 세계 경제성이 둔화될 전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