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주요국,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친환경자동차' 시대로 진입 가속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한국자동차산업협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3-05
  • 등록일 2019-03-29
  • 권호 139

□ 환경변화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친환경자동차’…빠르게 시장 확대할 전망


○ 국제 환경규제의 지속적인 강화와 함께 파리협정 ‘新기후체제’ 출범(’15.12월)으로 세계 자동차 시장은 내연기관 엔진차량에서 친환경자동차*로 빠르게 확산 


  * 친환경자동차는 하이브리드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차(EV: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으로 분류


 - 국제 에너지기구(IEA)는 ’17년 세계 300만 대 수준이던 전기차가 ’30년 1억 2,500만 대로 증가하고 지금보다 더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할 경우에는 2억 2,000만 대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 (’18.5.30일)


  * 전기차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해 다양한 지원을 실시하고 휘발유와 디젤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내연기관엔진 차량 판매를 금지하는 등의 정책


< 세계 친환경자동차 시장 전망과 국가별 지원 현황 >

5.PNG

※ 자료 : IEA, '18.5.30일


□ 국내에서도 ‘친환경자동차’ 지원을 확대하며 수요 견인


○ 정부의 친환경자동차 구매 보조금 지원, 통행료 및 주차료 할인 혜택 등 다양한 지원과 맞물려 자동차 업계의 신규 친환경자동차 출시가 이어지며 보급 확대


○ ’18년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자동차(수입차 포함) 국내 판매량은 12만 4,979대로 전년 대비 26.2% 증가(한국자동차산업협회, 3.5일)


< 국내 친환경자동차 신규 등록 추이 > 

6.PNG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19.3.5일 (매일일보 재인용, ’19.3.4일)


○ ’18년 국내 친환경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전체 자동차 판매량(152만 5,150대)의 8.2%를 차지. 이 중 수소연료전지차의 성장률과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판매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


  ※ 국내 친환경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선진국인 서유럽 (6.6%), 미국(3.9%)보다 높은 수준


 - (수소연료전지차) 현대 ‘넥쏘(NEXO)’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780%이상 증가한 731대가 판매돼 정부 보급목표(659대)를 넘어서며 급성장


 - (하이브리드 자동차) 휘발유 가격 인상과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아져 전년 대비 10%증가한 9만 3,904대로 전체 친환경자동차의 74.5%를 차지하며 친환경자동차 시장 성장을 주도


 - (전기차) 정부 구매보조금과 세금감면확대, 신규 모델 출시 등에 따라 전년보다 110%증가한 3만 1,154대로 집계


○ 주요 자동차 업계는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추가하고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는 등 친환경자동차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어 올해도 高성장세가 이어질 전망


 - 현대차그룹은 ‘쏘울(Soul)’ 전기차를 추가로 선보이고 ‘아이오닉(Ioniq)’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주행가능거리를 최장 400㎞까지 늘릴 계획


□ 노르웨이‧아이슬란드‧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는 ‘친환경자동차’ 선도국으로 주목


○ ’17년 전기차 판매 비중은 노르웨이가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9%를 차지하며 세계 전기차 시장을 주도. 이어 아이슬란드(11.7%), 스웨덴(6.3%) 순


○ (노르웨이) ’25년부터 내연기관엔진 차량 판매를 전면 중단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16.6월)하며 전기차 등 친환경자동차 육성에 주력


 - 전기차 보급을 위해 수입세 폐지 및 등록세 감면, 고속도로 통행료 및 부가세 면제, 주차‧충전요금 무료, 전기차 전용도로 운영 등 다양한 지원 정책 시행


○ (아이슬란드) ’99년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가의 모든 에너지를 수소로 충당한다는 ‘2040 수소 사회’ 프로젝트를 실시하며 수도 레이캬비크의 대중교통 수단으로 수소버스운행을 활성화


○ (스웨덴) 운송 분야에서의 신재생에너지 ’20년까지 10%로 상향시킨다는 에너지정책 목표를 갖고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개발과 친환경자동차 기술개발을 장려


 - 100㎞ 주행 당 전력 소비가 37kWh 이하인 전기자동차에 한해 자동차세를 5년간 면제해주고 있으며 기업이 전기자동차를 구매하는 경우 관련 세금의 40%를 공제


□ ‘친환경자동차’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준비 강화


○ 파리기후협약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자동차 중심으로 생산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추세


○ 세계 각국은 친환경자동차의 대중화 시점을 ’20~’30년으로 예상함에 따라 친환경자동차 양산체제 인프라 구축에 몰두


 - 내연기관 차량 판매 금지 정책을 확산 시키고 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차의 충전소‧연료공급시설을 설치해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


○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기술개발 등을 통해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충전 인프라 구축을 적극 확대하는 등 시장 활성화 여건 조성에 매진


 - 배터리, 구동부품, 충전모듈 등 전기차 연관 산업에 대한 충분한 역량을 확보하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안전성 제고, 규제 개선 등 논의와 검토를 꾸준히 병행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