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시즈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목표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03-13
- 등록일 2019-04-12
- 권호 140
□ 문부과학성은 ’19년 과학진흥기구(JST) 전략사업 및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AMED) 혁신사업 연구개발 목표를 선정(’19.3.)
○ 일본은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JST ‘전략적 창조연구추진사업*’(신기술 시즈 창출)과 일본 AMED ‘첨단연구개발지원사업**’을 통해 도전적 연구 강화
* 문부과학성이 정한 전략목표 하에 대학 연구자들로부터 제안을 받아 조직‧분야의 한계를 넘는 혁신적 기초연구를 추진
** 혁신적 의약품 등으로 이어질 시즈 창출에 이바지하는 연구를 추진
【전략목표(6건)】
① 나노 스케일 동적 거동에 기반하는 역학 특성 발현 메커니즘 규명
재료 역학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원자‧분자 수준의 국소적 구조 변화, 화학 변화를 포착하여 매크로 스케일 수준의 역할 특성과 연결 상태를 이해
- 나노 스케일 동적거동을 분석하는 기술을 발전시켜 매크로 스케일의 역할 특성을 결정하는 지배인자 및 작용기전 규명
- (달성목표) 역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지배인자 및 작용메커니즘 규명, 동적 나노스케일 평가기술 확립, 새로운 역할기능을 가능케 하는 재료설계지침 확립
② 첨단광과학 기술을 구사하는 혁신적 원천기술 창출
광과학 기술은 산업의 근간이 되는 기술로서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되는 과정에서 아직 미개척 분야에 대한 개발이 필요
- 광특성을 활용한 물질의 조작‧제어, 광특성을 활용한 생명의 관찰‧치료기술 창출, 정보처리를 광기술에 활용, 광요소기술 개발
③ 양자 컴퓨팅 기반 창출
양자역학적 효과를 활용하여, 대규모 정보처리를 실시하는 양자정보처리 기술에서 최근 하드웨어 개발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경쟁이 가속화
- 양자계측 알고리즘 개발, 양자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양자정보처리시스템 아키텍처 연구개발
④ 수리과학과 정보과학의 연계‧융합에 의한 정보활용 기반 창출
계측기술 및 계산기 성능의 비약적 향상으로 다양한 데이터 활용이 가능하나, 일본은 아직 페이지랭크, 차등 개인정보 등으로 선진국보다 뒤쳐짐
- 수리화학과 정보과학 연계를 통해 수학적 발상을 도입한 혁신적 정보활용 방법 창출에 기여하는 이론 및 기술 구축
⑤ 차세대 IoT의 전략적 활용을 뒷받침하는 기반 기술
IoT로 연결된 인간과 기기로부터 발생한 데이터를 AI, 빅데이터 처리 등 정보과학기술을 통해 분석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 창출
- IoT 기기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대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요소기술 개발, AI에 의한 공격대처 및 비밀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
⑥ 다세포 간의 시공간적 상호 작용의 이해를 목표로 하는 기술‧분석 기반 창출
사람, 생물, 장기, 기관 등 세포 분자지도를 작성하여 세포 속성 및 세포‧분자간 네트워크의 특성을 규명
- 다양한 계측 방법을 통한 생명 시스템 정량적 이해, 시공간 정보를 포함한 세포 및 분자간 네트워크 분석 기술 개발, 세포집단의 특성 및 동태를 예측‧조작하는 기술‧이론 창출
【연구개발목표(1건)】
① 건강‧의료 질 향상을 위한 라이프스테이지의 분자 생명현상 규명
라이프스테이지 초기단계의 건강에 다양한 환경요인의 영향요인 연구 확산
- 초기단계에서 생명현상, 생체 응답의 이해, 분자메커니즘 규명, 고정밀도 계측기반 기술 확립, 응답인자의 현황 및 예방 진단, 치료기술 시즈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