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OECD, 디지털 기술 발전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3-11
  • 등록일 2019-04-12
  • 권호 140


 OECD는 글로벌 디지털 전환 현황을 제시하고, 디지털 정책 이슈를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19.3.)


  * Meas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 Roadmap for the Future


  ※ 전체 목차는 디지털 기술 트렌드, 성장과 삶의 질, 접근성 개선, 일자리 제공, 시장개방성 확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디지털 기술 트렌드를 요약 


○ 디지털 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는 일부 국가에 집중되어 있어, ’13~’16년 상위 25개 디지털 기술 관련 특허 중 상위 5개 국가가 전체 특허의 72~98%를 차지


 - 일본, 한국은 전 기술 부문에서 상위 5개국에 속하였으며, ’13~’16년 사이 이루어진 전체 특허 활동의 7~68%를 점유


 - 미국은 항공교통통제(53%), 생물학적 모델 기반 알고리즘(43%) 및 수학적 모델(39%)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선도


 - 중국은 5개국 중 특허 비중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 


< ’13~’16년 유망 디지털 기술의 국가별 세계 5대 특허청 특허 비중 >

10.PNG


○ 디지털 기술의 범용성은 기술 개발 속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가속 상태가 오래 지속됨


< ’05~’15년 ICT 관련 기술의 강도 및 개발 속도 >

11.PNG


○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데이터 및 클라우드 부문의 기술동향을 분석


 1) 인공지능


 - ’90~’16년 인공지능 관련 특허 수는 해당기간 10배 이상 증가하였고, 대부분 컴퓨터 관련 기술(65%)이며, 패턴 인식, 이미지 분석, 디지털 컴퓨팅, 생물학적 모델 알고리즘, 음성인식 등 분야에 주로 활용


 - ’18년 영국 인공지능 기업 중 딥러닝 분야 기업은 자동화 및 분석기술을 활용하였고, 로보틱스, IoT, VR 분야 기업은 자동화 및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는 등 분야별로 다양한 기술을 활용


< 2018년 영국 내 인공지능 관련 기업의 주요 활동 분야 >

12.PNG


2) 데이터


 - 글로벌 데이터 전송량은 빠른 속도로 증가해 ’18년 국제 인터넷 대역폭은  초당 393 테라바이트 수준


 -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및 MS 등의 콘텐츠 제공기업으로 데이터가 집중되고 있으며, 이 같은 수요에 대응해 해저케이블, 데이터 센터 등 인프라에 대폭 투자


3) 클라우드


 - 초고속 광섬유 브로드밴드 보급, 저장장치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 등으로 비용이 감소하여 2010년 이후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급이 빠르게 확대


 - 기업 및 개인이 높은 초기 ICT 시설 투자 없이 수요에 따라 IT 서비스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


 - OECD 데이터 분석결과, ICT 중개 서비스에 대한 구매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대한 투자보다 빠르게 증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