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2019년 글로벌 반도체 산업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KPMG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3-26
- 등록일 2019-04-26
- 권호 141
□ KPMG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 현황 및 성장 전망을 제시하는 2019 글로벌 반도체 산업전망 보고서*를 발표(’19.3.)
* Semiconductors: As the backbone of the connected world, the industry’s future is bright
○ 글로벌 반도체 산업 리더 14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KPMG 기업 반도체 산업 신뢰도 지수*’는 ’18년 62점을 기록함
* 내년 한 해 매출, 수익, 노동자 규모, 자본지출, R&D 지출 등에 대한 전망
※ 해당 값이 50 이상이면 반도체 산업의 경영환경을 낙관적으로 평가
- 연 매출 1억 달러보다 적은 기업(69점)이 이상인 기업(54점)보다 신뢰도 지수가 높아, 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낙관적임
※ 소기업은 IoT, AI 등 혁신기술 혜택을 자본화하고 성장할 여지가 큰 반면, 대기업은 국제무역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관적인 것으로 분석
○ ’19년 매출을 주도할 가장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으로 ’IoT’가 무선통신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 AI, 자율주행차도 각각 3, 4위를 기록
- 커넥티드 홈, 스마트 시티, 산업 사물인터넷, 개인용 웨어러블 등 IoT 시장이 매출을 주도할 전망
※ 이미 260억 대의 기기가 연결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2025년까지 3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
< 내년 매출을 주도할 어플리케이션 비중 및 중요성 >
○ 향후 3년간 우선 전략과제로 혁신‧R&D 확대(41%)를 선정하였으며, M&A, 조인트 벤처(35%), 인재육성‧관리(33%)를 선정
- 반도체 기업은 R&D투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자사의 R&D가 시장에 다소 효율적(26%)이거나, 비효율적(9%)이라고 답변
○ 반도체 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위협 세 가지로는 인재, 운영, 유망기술 순으로 응답
○ 분석 결과, 기업은 커넥티드 기기 제공 기회를 활용하고, 사이버 보안 부문을 강화하며 R&D 효율을 증대시키고, 인재 및 역량 격차에 대한 대응 필요
① 커넥티드 기기 기회 활용
- 사물인터넷, 5G, AI 시스템, 자율주행차 등의 기술이 반도체 산업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기회를 매출로 연결하는 전략 수립
- 데이터와 분석을 제품 포트폴리오 관리에 통합, 블록체인 공급체인에 도입
② 제품과 사이버 보안 문화 확산
- 커넥티드 기기 증가로 보안 위험이 증대되고, 정부가 새로운 프라이버시 법안을 도입하려 함에 따라 보안은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기본적 요건으로 포함
- 조직 내 보안·훈련·통제를 통해 제품, 소비자, 기업 브랜드 명성 보호
③ R&D 효율성 개선
- 제품관리와 R&D 지출 배분에 객관적이고 구조화된 데이터 분석 기법 사용
- 응답자의 1/3이 R&D 지출이 효율적으로 집행되지 않는다고 응답
④ 인재 및 역량 격차 대응
- 정부와 같이 STEM 인력양성에 투자하고, 새로운 인턴십과 어프랜티스십 모델을 개발하여, 전통적으로 소외되어 온 인구 계층을 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