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세계적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거점 구축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수상관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9-03-29
- 등록일 2019-04-26
- 권호 141
□ 제 4회 통합이노베이션전략추진회의에서 향후 스타트업정책 관련 전략을 정리한 중간보고서를 발표(’19.3.)
○ 스타트업이 국가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고, 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성장이 주목받고 있는 반면, 일본의 창업성과는 매우 저조함
- 일본은 창업률이 낮고 창업에 무관심한 비율이 높은 편이며, ’09~’18년 유니콘 기업은 미국이 151개, 중국 82개, 일본 1개 수준임(’18.12월 기준)
○ 그동안 추진된 스타트업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 방향성을 제시
1) 세계적 스타트업 거점도시 구축
○ 도시 스타트업·에코시스템 분석
- 후쿠오카시를 ’14년 국가전략특구 ‘글로벌 창업‧고용 창출 특구’로 선정, 법인 감세 및 비자 발급 혜택 지원
- 오사카 우메다지역에 ‘그랜드 프론트 오사카’를 설치하여 지식창조‧교류의 장을 형성
※ 시부야, 니혼바시, 센다이, 요코하마, 오카야마, 오키나아 등 지역별 창업 지원정책 추진
2) 대학 중심의 에코시스템 강화
○ 기업가육성사업(EDGE-NEXT), SCORE 프로그램 강화 창업가 교육 프로그램 강화
- EDGE 프로그램은 전문성을 가진 대학원생이나 젊은 연구자를 중심으로 수강자가 창업 마인드, 사업화 노하우, 과제발견 및 해결능력, 넓은 관점 등을 함양하는 것이 목표
- SCORE 프로그램은 기술 발명이 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세미나, 워크숍, PR 등 관련 행사 추진
- 문부과학성과 경제산업성은 초‧중‧고 창업가 교육모델사업 추진 중
※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창업가 교육 사례집, 초중고 실천적 교육도입사례 개발
○ 학내·대학연계 컨소시엄 해커톤, 부트캠프 촉진
- 민간프로그램과의 연계 강화, 지역 스타트업 지원 연계
※ 칭화대학의 경우 학내에 Pre-quality 프로그램 마련, 스웨덴은 컨소시엄형, 헤브라이대학은 별도 법인 설립
3) 세계적 수준의 엑셀러레이션 프로그램 제공
○ Plug and Play 프로그램은 ’06년부터 시작하여 2,0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그중 750개사에 투자, 투자 자금 조달액은 70억 달러 이상임
4) 기술개발형 스타트업 자금 조달 촉진(GAP FUND)
○ 연구개발형 벤처 지원사업 강화
- 스타트업의 자금 규모가 작고 기업과의 상호 연계가 잘 되지 않아, 민간투자 연계 및 자금 조달을 고려한 NEDO STS 프로그램 추진
< NEDO STS 사업 추진 체계 >
※ STS 사업에서는 기술개발형 스타트업에 대한 직접지원 기능을 갖춘 국내외 VC 등으로 지금까지 34개 기업 인정
5) 프로젝트 공모형 공공조달 지원
- 내각부의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 사업은 ’17년 33건의 신청에서 15건을 지원
※ 미국은 “DARPA 챌린지”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적 아이디어를 경쟁 공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