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SNS 기업, 블록체인 시장 진출 가속페달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IDC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3-04
  • 등록일 2019-04-26
  • 권호 141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블록체인’, 범용성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


○ 세계 블록체인 시장 규모(Spending)는 ’18년 15억 달러(약 1조 6,500억 원)에서 ’22년 124억 달러(약 14조 1,000억 원)로 76.0%의 CAGR을 기록할 전망(IDC, 3.4일)


 - 가상화폐 등 금융 분야뿐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블록체인이 유효한 범용기술로 인식되면서 은행‧증권‧투자서비스‧보험서비스 등 활용 영역도 빠르게 증가 추세


 - (국가별) 미국이 11억 달러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어 서유럽(6억 7,400만 달러), 중국(3억 1,900만 달러) 순


 - (도입 분야) △국경 간 지불 및 결제(Cross-border payments&settlements, 15.9%) △무역 금융 및 PTS(Trade finance &post-trade transaction settlements, 10%) 등 금융 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시장을 이끌 것으로 분석


 - 이어 △부품 출처 추적(Lot lineage/provenance, 9.8%) △제품 관리(Asset/goods management 8.6%) 등 제조 분야에서 도입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


< 세계 블록체인 시장 규모 전망 >

14.PNG

※ 자료 : IDC, ’19.3.4일


□ 금융업계부터 SNS 기업에 이르기까지 블록체인 도입 확산


○ 금융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블록체인 서비스는 최근 글로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기업들까지 블록체인‧가상화폐 기반 결제‧송금‧투자 사업에 나서고 있는 상황


 -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자회사 라인 등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 서비스를 제공해 온 기업들은 전 세계 이용자를 대상으로 블록체인‧가상화폐 기반 핀테크 사업을 추진


 - 금융‧결제 시스템 미비나 은행계좌‧신용카드가 없는 사람들이 가상화폐를 이용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


< 글로벌 SNS 기업의 블록체인 시장 진출 현황 >

15.PNG

※ 자료 : 언론 보도 자료 정리


○ (라인) ’18.4월에 설립한 블록체인 전문 업체 ‘언블락(unblock)’을 통해 가상화폐 ‘링크(Link)’와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 자체 블록체인 ‘링크체인(Link Chain)’ 기반 생태계 구축에 가속


 - 뉴스‧게임‧뮤직‧쇼핑‧결제 등 기존 서비스에 가상화폐 ‘링크’를 활용한 보상체계를 접목하여 이용자 보상과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구성


 - 블록체인 기술에 초점을 둔 금융 사업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무라홀딩스와 양해각서(MoU)를 체결(1.31일)하며 가상화폐 등 폭넓은 사업을 검토


  ※ 노무라홀딩스는 라인의 디지털 토큰 및 블록체인 사업 관련 자회사인 LVC코퍼레이션 신주발행에 참여할 예정


 - 금년 말에는 결제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비자(Visa)’와 공동으로 일본에서 ‘라인페이-비자 신용카드*’를 출시할 예정


  * 카드 사용자는 본인의 라인페이 계정에 카드를 등록하면 실물 카드 없이 모바일 내 라인페이를 통해 손쉽게 결제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전 충전 없이 신용카드와 연계된 은행 계좌를 통해 사용액을 납부


 - 이 외에도 메신저 안에서 보험 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 ‘라인 보험’, AI 챗봇을 활용한 ‘라인 스마트 투자’, 개인 자산 관리 서비스 ‘라인 가계부’ 등을 운영하며 금융 상품 분야에도 첨단 기술을 빠르게 도입


○ (페이스북) ’18.5월 블록체인 전담팀을 구성하고 의료와 금융, 정보저장 및 공유 기술에 블록체인을 접목하는 연구 진행


 -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 ‘체인스페이스(Chainspace)’를 인수(2.4)하며 가상화폐 개발을 본격화


  ※ 이번 인수 방식은 회사가 개발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얻기 위해 인수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 인재와 그들의 전문성을 획득하기 위해 진행하는 ‘인재인수(acquihire)’ 방식으로 진행


 - 또 이스라엘의 ‘텔 아비브(Tel Aviv) 개발 센터’에도 블록체인 팀을 신설(3.6일)하면서 사업 확장에 주력


 -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50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참여하고 있으며 금년 상반기 내에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왓츠앱(WhatsApp)’에서 거래할 수 있는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을 개발하는 등 자체 가상화폐를 발행할 예정


○ (카카오) 블록체인 개발 투자 전문 자회사 ‘그라운드X(Ground X)’를 설립(’18.3월)해 생태계 확장


 - 26개 블록체인 서비스 프로젝트들과 협력해 ’19.6월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인 ‘클레이튼(Klaytn)’을 출시 할 예정


 - 카카오페이지, 카카오페이, 카카오T 등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 또 국내에서만 4,400만여 명이 사용하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에 가상화폐 지갑 기능을 탑재할 예정으로 카카오의 가상화폐 ‘클레이(Klay)’를 손쉽게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트위터) 비트코인 및 가상화폐 생태계를 독립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스퀘어 크립토’라는 명칭의 별도 조직을 운영할 방침


 - 오픈소스(open source)기술을 활용해 가상화폐 생태계에 기여할 전문 인력을 모집 중이며 가상화폐의 커뮤니티와 경제적 권한 분산을 연구


□ 블록체인 기술 가치와 효용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준비 강화


○ 블록체인은 데이터 보안‧편의‧연결성을 보장하며 거래 효율‧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혁신기술로 금융‧의료‧무역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


 -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전망


○ 블록체인 기술이 성장잠재력이 큰 범용기술로 인식되면서 글로벌 SNS 기업들은 자사 플랫폼 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등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개발을 본격화


○ 우리나라도 경쟁력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자체 개발할 수 있도록 핵심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