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국가대학과기원 혁신발전 촉진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9-04-15
- 등록일 2019-05-10
- 권호 142
□ 과기부와 교육부는 ‘국가대학과기원 혁신발전 촉진방안’을 발표(’19.4.)
○ ’91년부터 추진되어 온 중국 대학과기원은 중국 과학기술 개혁 혁신의 시범기지 및 과학기술 인력 혁신창업의 매개체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
- ’04년에는 42개에서 ’17년 기준 전국에는 115개의 국가대학과기원이 설립
< 연도별 국가대학과기원 기본 현황 >
- 대학과기원은 북경(15), 강소성(15), 상해(13)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밖에, 요녕(6), 절강(6), 사천(5), 산동(5) 순으로 나타남
< 국가대학과기원 기본 현황 >
지역 | 대학과기원 | 종사자 수 | 인큐베이션 기금액(천위엔) | 고정자산가치 (단위:천위엔) | 면적(s.q.m) |
북경 | 15 | 530 | 1,090,914 | 372,883 | 1,375,328 |
강소성 | 15 | 289 | 331,520 | 754,867 | 1,426,420 |
상해 | 13 | 400 | 134,419 | 189,209 | 812,563 |
요녕 | 6 | 124 | 30,000 | 30,332 | 218,779 |
절강 | 6 | 103 | 81,000 | 965,970 | 234,420 |
사천 | 5 | 146 | 57,438 | 96,683 | 235,217 |
산동 | 5 | 102 | 29,272 | 656,637 | 395,695 |
섬서 | 4 | 87 | 22,000 | 83,979 | 94,134 |
하북 | 3 | 75 | 17,500 | 83,472 | 198,748 |
길림 | 3 | 28 | 32,957 | 4,094 | 66,800 |
강서 | 3 | 44 | 34,000 | 83,593 | 297,160 |
감숙 | 3 | 69 | 3,700 | 7,455 | 66,439 |
복건 | 2 | 28 | 5,000 | 264 | 32,371 |
광동 | 2 | 38 | 20,000 | 18,344 | 88,703 |
해남 | 2 | 17 | 5,490 | 2,009 | 55,060 |
중경 | 2 | 28 | 8,000 | 4,125 | 41,724 |
귀주 | 2 | 24 | 4,307 | 2,211 | 37,573 |
운남 | 2 | 71 | 15,000 | 7,523 | 49,000 |
○ 주요 과제로 첨단 과학기술 혁신자원 통합, 과학기술 성과 이전 촉진, 과학기술 창업 촉진, 개방형 발전, 정책 지원 강화 등을 제시
① 첨단과학기술 혁신자원 통합
- (플랫폼) 대학 기술혁신센터, 중점실험실, 과기기반여건플랫폼 등 연구개발시설 통합, 대학‧기업 공동실험실, 산업기술연구원 협동혁신센터 등 연구개발기관 구축
- (대학자원) 입주기업에 대한 대학 혁신자원 공유메커니즘 구축, 대학 과학연구 기반시설, 대형연구기기, 과학기술 데이터 분야 개방 서비스
- (온라인자원) 인터넷+ 과기성과 이전 추진, 연구개발 크라우드 소싱, 크라우드 펀딩 등 새로운 서비스 제공, 종합성 과기서비스플랫폼 구축
② 과기성과 이전 촉진
- 기술이전기관 설립, 과기성과 통계‧평가 강화, 전문 기술이전 서비스인력 강화
- 국가기술혁신센터, 국가공정연구센터, 국가제조업혁신센터 등 과기 서비스기관 역할 발휘
③ 과기 창업 촉진
- 창업투자 서비스 체계 구축, 전체 창업 사슬 보육시스템 구축, 임베디드 기능 수행, 전문 대중창업공간 구축
- 혁신창업 매개체 육성,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 혁신창업 분위기 조성
④ 개방형 발전
- 대학과기원 연맹간 교류 촉진, 전문서비스기관‧산업클러스터와의 연계 강화, 대학과기원 분원 설립 및 서비스모델 수출, 다국적 기업 R&D센터와 연구형 대학의 R&D 기관 설립 유치
⑤ 정책 지원 강화
- 국가급‧성급 대학과기원 부동산세, 도시토지사용세, 부가가치세 우대정책 구체화, 국가 과학기술 성과이전 촉진법 및 수익배분 정책 수립, 대학 교수 창업 정책 구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