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플랫폼 경제 특성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WEF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9-03-25
- 등록일 2019-05-10
- 권호 142
□ WEF는 디지털 플랫폼 및 생태계의 특성을 분석하고, 공공-민간 파트너십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제시*(’19.3.)
* Platforms and Ecosystems: Enabling the Digital Economy
○ 디지털 플랫폼은 금융, 건강관리에서 미디어, 소매업에 이르는 광범위한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재구성
- 플랫폼 기업은 전통적인 제품기업과는 달리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고 제품공급사슬상의 한계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사업모델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 페이스북은 제품생산비용이 없이 파트너들을 지속적으로 플랫폼 내 추가함으로써 가치 창출
- 플랫폼 기업은 전통기업과 달리 네트워크 효과*를 바탕으로 한가지 사업모델을 통해 적은 인원으로 더 많은 시장가치를 창출
*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수록 그 효과가 커지는 효과
< 2018년 기준 플랫폼 기업과 전통기업의 시장가치 비교 >
기업명 | 창업년도 | 근로자 수 | 시장 가치(10억 달러) |
BMW | 1916 | 131,000 | 51 |
우버 | 2009 | 16,000 | 76 |
디즈니 | 1923 | 199,000 | 163 |
페이스북 | 2004 | 35,000 | 473 |
○ 플랫폼의 수익은 가치 창출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플랫폼 내에서 수익창출은 제품 및 서비스, 데이터, 수익의 플로우로 연계되어 거래가 실현
- 기존 성과지표인 매출액 외에도 유입량, 시장비중, 서비스품질, 문화와 인재, 멤버십 등 다양한 성공지표가 존재
성과지표 | 사용기업 | 성과지표 | 사용기업 |
매출액 | SAP, 우버 등 | 문화와 인재 | GE디지털 |
유입량, 거래량, 여행자 수 | 부킹닷컴 등 | 킬러 어플리케이션 | Alibaba |
수익, 시장 비중 | 우버 | 멤버십 | BlaBlaCar |
참여자 및 보완자 수 | SAP, 도이치은행 등 | 매출 중 디지털 판매 비중 | 클로크너 |
서비스 품질 | 부킹닷컴, SAP | 파트너의 매출 비중 | Alibaba, SAP |
객실 및 단지 수 | 부킹닷컴 | 활용률 | Door2Door |
○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기업간 연계가 가능하여, 많은 기업간 협력과 경쟁을 통해 복잡한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디지털 생태계 등장
- 디지털 생태계 내 기술은 모듈화 되어 있어,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번들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급격히 증가
- 생태계의 변화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도 조정되며,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더 많은 가치를 고려
○ 향후 디지털 플랫폼은 사회적 혜택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우버, Airbnb과 같은 새로운 방식의공공-민간 파트너십이 더욱 가속화 될 전망
1) 트렙스(Traipse)
- 여행자들이 재미있는 지역 정보를 얻고 게임화된 퍼즐을 풀면서 새로운 도시를 익혀가고, 여기서 얻은 포인트로 할인 혜택을 받아 물건을 구매하며 지역 경제생태계에 기여
2) 디디추싱(DiDi Chuxing)
- 차량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얻은 교통류 데이터를 도시정부와 협력해 분석하여 대중교통시스템이나 신호체계를 최적화하는데 활용
3) 베로시아(Velocia)
- 사용자가 자동차 공유, 자전거 공유, 텍시, 대중교통 등의 교통수단을 활용하고 그 정보를 공유할 경우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교통혼잡을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