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포브스, 글로벌 블록체인 50대 기업 발표…삼성전자 포함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포브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4-16
  • 등록일 2019-05-10
  • 권호 142

□ 금융 기업 강세 속에 ICT 기업 대거 포함


○ 美 경제지 포브스는 미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기업 가운데 ‘블록체인 매출 또는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상위 50개 기업을 선정


 - 외부 컨설턴트 등 전문가 집단 자문을 받아 상위 50개 기업을 선정했는데 금융뿐만 아니라 아마존·월마트 등 초대형 유통기업, MS·IBM·구글·페이스북 등 ICT 기업 등이 총망라


 - 가상화폐 관련 기업으로는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와 채굴장비업체인 비트퓨리(Bitfury), 블록체인 기반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플(Ripple) 등이 포함


○ (지역별) 미국 기업이 총 33개에 달하며 압도적 우위를 보인 가운데 유럽과 아시아 기업은 각각 13개, 4개로 집계


 - 아시아 기업으로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중국 알리바바의 금융 자회사 앤드 파이낸셜(Ant Financial), 대만 폭스콕·HTC가 순위에 랭크


○ (업종별) 보험·은행 등 금융 기업이 22개로 최다, ICT 기업은 17개로 집계


 - 특히 ICT 기업 중에서는 아마존·페이스북·구글·IBM·인텔·MS 등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이 대거 포진


< 포브스, 블록체인 50(Blockchain 50: Billion Dollar Babies) >

업종

지역

기업명

기업수

총합계

금융

미국

Broadridge Financial, Citigroup, Coinbase, DTCC, Fidelity, JPMorgan Chase, Mastercard, MetLife, Nasdaq, Northern Trust, PNC, Ripple, Signature Bank, State Farm, Visa

15

22

유럽

Allianz SE(독일), BBVA(스페인), BNP Paribas(프랑스), ING(네덜란드), Santander(스페인), UBS(스위스)

6

아시아

Ant Financial, Hangzhou(중국)

1

ICT

미국

Amazon, Comcast, Facebook, Google, HPE, IBM, Intel, Microsoft, Oracle, Seagate Technology, VMware

11

17

유럽

Bitfury(네덜란드), SAP SE(독일), Siemens(독일)

3

아시아

Foxconn(대만), HTC(대만), Samsung(한국)

3

기타

미국

Bumble Bee Foods, Cargill, Ciox Health, CVS Health, Golden State Foods, Overstock, Walmart

7

11

유럽

Anheuser-Busch InBev(벨기에), BP PLC(영국), Maersk(덴마크), Nestle(스위스)

4

아시아

-

-


※ 자료 : Forbes, ’19.4.16일


□ 삼성전자, 자체 플랫폼·스마트폰 통합인증 앱 개발 등으로 호평


○ 계열사 삼성SDS가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Nexledger)’를 출시(’16.7월)하며 기업용 블록체인 시장에 본격 진출을 선언(’17.4월)


 - 넥스레저(Nexledger)는 배터리 관계사의 스마트 계약 관리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금융뿐만 아니라 물류·제조·유통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가능


 - 4.24일에는 넥스레저의 차세대 버전인 ‘넥스레저 유니버셜’을 출시


○ 스마트폰 이용자 신원을 15개 은행이 동시 확인하는 통합인증 애플리케이션에 블록체인 기술(뱅크사인: BankSign)을 채택(’18.8월)해 그동안 개별적으로 로그인하던 불편함을 해소


○ 또한 지난 3월 출시한 갤럭시S10에 블록체인 서비스인 ‘블록체인 키스토어’와 ‘블록체인 월렛’을 내장해 대중화에 앞장섰다는 평가


  ※ 블록체인 키스토어: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서비스를 사용할 때 할당되는 개인 키를 삼성전자의 보안 SW인 ‘녹스’를 이용해 안전하게 보관하는 서비스


  ※ 블록체인 월렛: 블록체인 키스토어 앱에서 지갑을 생성하여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로 입출금, 송금 등 거래


○ 최근 블록체인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아 과감한 투자를 단행하는 등 적극적 행보도 눈길


 - 지난 2월 미국 블록체인 기반 생체인식 암호화 회사인 HYPR*과 모바일 생체인증 관련 파트너십을 맺고 100만 달러의 투자를 단행


  * 생체인식 정보, 문자 및 숫자 비밀번호 등을 개인이 소유한 기기에 암호화 형태로 보관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 또한 투자전문회사인 삼성벤처투자가 이스라엘 스타트업 케이젠(KZen)*이 조달한 400만 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에 참여하는 등 블록체인 사업을 다각적으로 추진


  * 케이젠은 가상화폐 지갑 개발업체인 젠고(Zengo)의 전신


□ 블록체인, 금융뿐 아니라 ICT·유통 등 광범위한 업계에서 기술개발 급물살


○ 가상화폐 투기과열 논란 등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자사 고유의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유통하려는 글로벌 업계의 움직임 분주


 - 이들은 자사 서비스와 연계한 혁신적인 킬러 서비스 개발을 위해 안정성·신뢰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과 결합해 새로운 가치창출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에 주목


○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블록체인 상위 50개 기업에 포함되며 두각을 나타냈으나 보다 많은 기업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강구하며 시장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할 필요


○ 우리 정부도 블록체인 발전전략(’18.6월)을 마련하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행보를 구체화한 만큼 관련 법규도 면밀히 검토하여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에 만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