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대학 연구역량 혁신 방안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04-23
- 등록일 2019-05-24
- 권호 143
□ 문부과학성은 고등교육 연구개혁 이니셔티브(2.1.)에 따라 2019년 대학 연구역량 혁신 방안을 논의(’19.4.)
* 일본의 저조한 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해 연구 인재, 자금, 환경 혁신을 추진
1) 연구인재
○ 연구자의 경력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탄력적 커리어패스 제시가 필요
- 박사과정 진학자수 감소, 연구직의 불안정성 및 커리어패스 다양성 부족, 인재 유동성 저조, 국제화 저조, 연구자 외 연구관리 인력 육성 부족
○ 연구자가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 정비
- 신진연구자 임기 장기화(5년 이상 원칙), 뛰어난 신진연구자 직위 향상(탁월연구원사업 개선), 국제 활동이 가능한 연구자 육성 등 안정성 확보
- 중견연구자 PI의 연구시간 확보, 경쟁적 자금 외 학내 업무 대행경비(인건비) 지출이 가능하도록 조치(연구전담교수, 교육전담교수)
○ 커리어패스 다양화 및 유동성을 촉진하는 환경 정비
- 산학협력 등을 통한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탁월대학원, 교차 계약, 창업가 육성, 국책연구소 및 산학공동연구사업 활용)
< 연구자 경력별 지원 방안 >
2) 연구자금
○ 연구자의 도전적 과제 지원을 위해 연구단계별 연구자금 제도 개혁‧연계
- 기반적 경비, 과학연구비 조성사업, JST 전략적 창조연구사업
3) 연구환경
○ 연구자의 업무부담 경감 및 연구설비 및 장비 등을 공용화하여 연구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자의 자율적인 연구환경 조성
- AI, 로봇 기술 활용 분야 연구실 활용 촉진, 국내 우수한 첨단 대형연구시설장비를 선정하여 네트워크화, 공용 플랫폼화
- 대학 공동이용기관 개혁 및 거점 네트워크화, 연구기반 운영 인력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