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19년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하락세에도 삼성 1위 수성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조선비즈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5-02
  • 등록일 2019-05-24
  • 권호 143

□ 세계 스마트폰 시장 역성장 불구, 5G폰 출시 등으로 기대감 상승


○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18년 1분기 3억 4,540만 대에서 올해 1분기 3억 3,040만 대로 4% 감소(SA, 4.30일)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전년대비 감소했지만 하락 폭이 크지 않으며 신제품(5G·폴더블) 출시와 중국 등 주요 시장 수요가 상대적으로 개선되면서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


< 세계 스마트폰 시장, 업체별 판매대수와 점유율 >

10.PNG

※ 자료 : SA(4.30일)


□ 삼성전자,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중국 시장 점유율도 회복


○ ’18년 1분기 출하량은 7,820만 대에서 8%가량 감소한 7,180만 대를 출하해 21.7% 점유율을 기록(SA)


 - 중저가 시장에서 판매량이 감소했지만 3.8일에 출시한 갤럭시S10이 주요 시장에서 전작인 갤럭시S9 판매량 대비 120∼130% 성과


○ 한편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18년 1분기 이후 4분기 만에 100만 대를 출하해 점유율 1.1%로 1%대를 회복


 - 중국 전체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은 지난 1분기 8,900만 대로 ’18년 1분기 대비 6% 감소했으며 애플도 ’18년 1분기 9.9%에서 ’19년 1분기 6.7%로 중국 시장의 점유율이 하락


 - 반면 삼성전자는 소폭이지만 점유율 반등에 성공했으며 이는 상반기 전략 스마트폰인 갤럭시S10이 현지에서 호응을 얻었기 때문으로 풀이


  ※ 중국 시장 내 삼성전자 점유율은 ’16년 4.9%, ’17년 2.1%, ’18년 1분기 1.3%, 2분기 0.8%, 3분기 0.7%, 4분기 0.7%로 지속적으로 하락 ’18년 연간 점유율도 0.8%


○ 일각에서는 최근 5G 스마트폰의 품질 논란과 폴더블(Foldable·접고 펴지는)폰 ‘갤럭시폴드’ 출시 연기 등의 이슈가 발생하면서 스마트폰 점유율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애플이 건재하고 중저가 시장에서는 중국 업체들이 뒤쫓으면서 쉽지 않은 상황


 - ’18년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13년 이후 처음으로 3억 대 미만으로 하락한 한편 중국 ‘화웨이’의 추격이 이어지면서 선두권 유지를 위한 대응 방안이 요구


□ 중국 기업, 전 세계 스마트폰 1/3 차지하며 빠르게 추격… 화웨이 두각


○ 화웨이․샤오미․오포 세 업체를 합친 시장 점유율은 33.9%로 ’18년 1분기(26.6%)에 이어 높은 성장세 유지


 - 4, 5위를 차지한 샤오미․오포는 각각 전년 동기대비 8.2%에서 8.3%로, 7.0%에서 7.7%로 점유율 상승


  ※ 세 업체의 합산 점유율은 ’16년 4분기 이후부터 10분기 연속 삼성전자보다 앞서고 있는 상황


○ 특히 화웨이가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을 넘어 2위 자리를 굳히고 삼성전자를 빠르게 추격하는 상황 


 - ’18년 1분기 3,930만 대(11.4%)를 출하했던 화웨이는 올해 1분기 5,910만 대를 출하하며 17.9%의 점유율을 기록


 - SA는 “화웨이가 중국․서유럽․아프리카에서 높은 시장 지배력을 보이며 애플뿐 아니라 삼성전자와의 차이도 좁히고 있다”고 설명


□ 애플,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서비스 등 부가적인 요소 통해 부진 만회


○ ’18년 1분기 5,220만 대를 출하해 15.1%의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19년 1분기 출하량이 4,310만 대로 점유율이 13%로 하락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둔화, 미·중 무역 분쟁에 이어 중국 경기 침체까지 이어지면서 아이폰 판매량이 급감한 것으로 풀이


 - 그러나 앱스토어를 비롯한 급성장하는 서비스 매출 덕분에 1년 전 실적에 미치지는 못했으나 시장 예측을 웃도는 성적을 기록 


  ※ 애플의 1분기 매출은 580억 1,500만 달러, 순이익은 115억 6,100만 달러. 이 중 서비스 매출이 114억 5,000만 달러로 전체의 20%. 이는 전년 동기대비 16% 증가한 수치


□ 세계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 회복 전망, 다양한 라인과 신기술 접목으로 차별화 요구


○ 스마트폰 기기의 고급화로 교체주기도 길어짐에 따라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19년에는 5G 도입, 폴더블 제품 출시 등으로 판매량 회복 기대


 - 프리미엄 제품뿐 아니라 펀치 홀 카메라, 전면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디스플레이 탑재, AI탑재 등의 기능이 중간 가격대 제품에도 적용됨에 따라 긍정적 전망 


○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업체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바 경쟁 우위 창출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필요


 - 삼성 갤럭시 S10 시리즈는 3가지 제품으로 라인을 구성하면서 추가적인 판매량을 확보. 이는 플래그십 제품을 선호하는 고객 역시 가격 대비 효율성을 중시하기 때문으로 풀이


 - 기존 라인 강화와 더불어 중저가 라인에도 신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