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IT 기업, 연례개발자회의를 통해 차세대 전략 구체화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마이크로소프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5-06
  • 등록일 2019-05-24
  • 권호 143

□ (구글 I/O 2019) 진화된 AI·AR 기술 적용한 ‘안드로이드Q’, ‘네스트 허브 맥스’ 공개


○ 연례개발자회의 ‘구글 I/O 2019(5.7∼9일)’를 개최한 구글은 진일보한 인공 지능(AI) 서비스를 모든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미래 비전을 표출


 - 단순히 구글 신기술과 플랫폼을 개발자에게 소개하는 수준을 넘어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OS 발표, AI 기반의 다양한 기술·서비스가 대거 등장


 - 순다르 피차이(Sundar Pichai)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기조연설을 통해 인간의 삶을 나은 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새로운 기술의 혜택이 차별 없이 주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


 - △새로운 구글 렌즈(Google lens) 기능 △듀플렉스 온 더 웹(Duplex on the Web) △안드로이드 열 번째 버전 ‘안드로이드Q’ △AI 스피커 ‘네스트 허브 맥스’ 등이 핵심


11.png

※ 자료 : 언론 보도 자료 정리


□ (MS 빌드 2019) AI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개발 툴 발표


○ MS 개발자 컨퍼런스 ‘빌드 2019(Microsoft Build 2019, 5.6∼8일)’는 폭넓은 AI 기술을 활용해 개발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툴과 플랫폼 제공하는데 중점


○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Azure)’와 ‘마이크로소프트 365(Microsoft 365)’를 이용해 모든 플랫폼에서 AI 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전략과 기술을 공개


 - △애저 데이터 팩토리를 통해 MS 그래프 상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MS 그래프 데이터 커넥트’ △웹이나 앱에 있는 콘텐츠를 모듈형으로 구성해 문서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플루이드 프레임워크’ △IE 모드, 프라이버시 제어 기능이 추가된 에지 신규 기능 등을 발표


< MS 빌드 2019 주요 내용 >

새로운 프로그램과 제품군

주요 내용

마이크로소프트 365

(Microsoft 365)

대기업에서부터 중소기업, 사무직에서 현장 근무자에 이르기까지 모두에게 안전하고 통합된 생산성 환경을 지원

-마이크로소프트 365의 기반인 마이크로소프트 그래프 (Microsoft Graph)’를 통해 조직의 상황에 알맞은 인력과 정보, 활동을 AI 기반으로 맵핑하여 업무 방식과 협업 증진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

마이크로소프트 그래프 데이터 커넥터

(Microsoft Graph data connect)

애저 데이터 팩도리(Azure Data Factory)’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그래프 상에 있는 기업이나 조직의 생산성 데이터와 해당 기업이 가지고 있는 기업 내 데이터를 안전하게 통합

플루이드 프레임워크

(Fluid Framework)

웹이나 앱에 있는 콘텐츠를 모듈형으로 구성해 문서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반 플랫폼인 플루이드 플레임워크(Fluid Framework)’를 공개

- 사람간의 협업 뿐 만 아니라 인텔리전트 에이전트와 같은 AI의 도움을 받아 콘텐츠 검색, 이미지 추천, 전문가 검색, 데이터 번역 가능

쿠버네티스 이벤트 드리븐 오토스케일링

(Kubernetes Event-driven Autoscaling, KEDA)

프리뷰 공개

레드햇(Red Hat)과 협력해 쿠버네티스 상의 서버리스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컨테이너의 배포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컴포넌트 공개

- ‘애저 펑션(Azure Functions)’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cluster)의 컨테이너 형태로 배포할 수 있는 호스팅 옵션을 제공

- ‘오픈시프트(OpenShift)’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라면 애저 펑션 프로그래밍 모델과 스케일 컨트롤러를 함께 활용 가능

깃허브(Git Hub)’

애저 액티브 디렉토리(Azure Active Directory, Azure AD)’ 도입

포스트그레SQL(PostgreSQL)을 위한 애저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하이퍼스케일 옵션이 추가

- 개발자들은 애저 SQL 데이터베이스 하이퍼스케일(Azure SQL Database Hyperscale)을 활용해 확장성이 뛰어나도 속도감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

애저 데이터베이스

(Azure Database) 하이퍼스케일(Citus) 옵션 추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업용 인증 시스템인 애저 액티브 디렉토리를 깃허브에 도입

- 깃허브 엔터프라이즈 고객은 기존 깃허브 계정으로 애저 포털(Azure Portal) 및 애저 데브옵스(Azure DevOps)와 같은 애저 서비스에 로그인 가능

마이크로소프트 에지 신규 기능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반의 앱을 에지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E 모드(IE mode)’ 개발

보호 단계를 3단계(unrestricted, balanced, strict)로 설정해 프라이버시를 강화할 수 있는 기능 추가

원하는 콘텐츠를 AI가 알아서 정리하고 쉽게 문서 작업 등에 활용하거나 공유 가능한 컬렉션(Collections)’ 기능 탑재


※ 자료 : 언론 보도 자료 정리


□ (페이스북 F8 2019) 프라이버시 중심 ‘소셜 플랫폼’으로 변화 선언


○ 페이스북 개발자 컨퍼런스 ‘F8 2019(4.30~5.1일)’에서 개인 사생활을 중시하는 ‘소셜 플랫폼’으로 변화하기 위한 방향성과 비전 제시


○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한 새로운 모바일 앱과 암호화 기능이 추가된 데스크톱 메신저 서비스 등을 통해 개인 소셜 플랫폼을 적극 도입할 계획


 - 이 외에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결제, 쇼핑 등의 기능을 추가해 ‘e-커머스(e-commerce)’ 서비스 확대


< 페이스북 F8 2019 주요 내용 >

부문

주요 내용

메신저 기능 강화

전 세계 22억 명 이용자를 보유한 페이스북 메신저 서비스의 모든 영역에 종단간 암호화(End to End Encryption)를 적용하고 PC용 페이스북 메신저를 출시하는 등 메신저 서비스 기능 강화

종단간 암호화(End to End Encryption)는 메시지를 보내는 곳부터 받는 곳까지 모든 과정에서 암호화된 상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암호화 방식

-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 외에는 아무도 메시지 확인이 불가능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메시지가 사라지는 기능 제공

- 올해 안으로 메신저 앱 안의 별도 공간에서 친구와 가족이 페이스북 스토리 기능을 활용해 게시한 콘텐츠와 메시지를 함께 보고 공유하는 기능을 선보일 방침

- 또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윈도우와 맥 OS 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PC용 메신저를 출시하여 채팅을 하는 동시에 그룹 화상 통화와 프로젝트 협업, 다양한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

뉴스피드 디자인 개편

페이스북의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공통관심사로 묶인 그룹중심으로 개편

- 직업 그룹의 경우 고용주가 채용 공고를 게시하면 구직자는 고용주에게 직접 메시지를 보내 페이스북 안에서 구인구직 과정을 모두 처리 판매 및 구매 그룹의 경우 페이스북 라이브 도중 물건에 대해 질문주문하는 기능 개발하는 등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카테고리별 기능 제공

- 페이스북 이용자가 자신의 관심사에 기반한 그룹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그룹 추천 기능을 도입할 계획

e-커머스 서비스 확대

네이버나 아마존처럼 여러 상품을 비교 검색하고 상품 결제를 할 수 있으며 주문한 상품 배송 상황을 추적 가능한 기능 도입 예정

- 페이스북 자회사인 인스타그램에서 물건 정보를 확인한 뒤 앱 화면을 벗어나지 않고도 바로 물건을 주문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할 계획


※ 자료 : 언론 보도 자료 정리


□ 글로벌 IT기업의 미래 전략과 행보에 관심을 갖고 다가올 변화에 대한 준비 강화


○ 글로벌 IT기업은 연례 개발자회의를 통해 새로운 제품과 미래 비전 등을 공개하고 있는 바, 미래 ICT 패러다임을 예측하는 나침반으로 주목할 필요


 - 글로벌 IT 기업은 모든 사람이 AI 기술․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신기술과 제품 등을 선보이며 전방위적 역량 과시


○ 국내 기업도 글로벌 IT 기업의 핵심 전략과 향후 비전 등을 꾸준히 모니터링하여 미래 트렌드를 파악하고 미래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적극 강구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