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국가 혁신정책 강약점 비교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정보기술혁신재단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06-13
  • 등록일 2019-07-05
  • 권호 146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는 전세계 23개국과 EU를 대상으로 국가간 혁신정책의 강약점을 비교한 보고서를 발표*(’19.6.)


  ※ GTIPA(Global Trade and Innovation Policy Alliance)는 전세계 25개국의 33개 싱크탱크로 구성된 글로벌 네트워크로 회원국가 혁신정책 사례를 제공


  * National Innovation Policies: What Countries Do Best and How They Can Improve


바람직한 혁신 정책이 국가의 장기적 경제발전 및 국민 삶의 직결된다는 측면에서 최상위 국가 혁신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


 - 미 연방정부 상무부는 미국 경제 발전의 75%는 과학기술 혁신에 비롯된 것으로 평가


 - 국가별 혁신율은 1인당 국민소득 수준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남


글로벌 23개국의 혁신체계 및 정책을 수집하여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강점은 다음과 같이 8가지 요인으로 요약할 수 있음


 - 국가 차원의 혁신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혁신정책 주도


 - 민간기업과 학계의 연구개발 세금 혜택 제공


 - 연의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를 획기적으로 완화


 - 빅데이터 공유를 통한 데이터 기반 혁신 추진


 - 첨단과학기술 분야는 별도로 글로벌 시장 주도 전략을 마련


 - 국가 차원에서 연구개발 투자 확대에 지속적으로 매진


 - 국가 혁신의 과정과 성과를 모두 보호하고 후속 혁신으로 이어지도록 특허권 등 지식재산권 보호 및 관리에 집중


 - 국가 혁신체계 안에서 혁신 성과의 상용화 및 상품화를 적극 지원하고 홍보 활동을 전개


또한 국가별로 국가 혁신체계 및 정책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 GDP 대비 연구개발 비율이 ’60년대 정점을 찍은 이후, 60년간 축소되어 ’17년 기준 최저 수준인 0.62%를 기록


 - (중국) 국가 차원의 혁신 인센티브와 실질적 성과간 연계성이 미흡


 - (유럽) 민간부문에 대한 혁신 인센티브 정책은 장점인 반면, 디지털 시대에 뒤쳐진 지식재산권 정책 등이 약점임


 - (영국) 유럽의 혁신 지표 및 글로벌 혁신지수 상위권 유지에 비해, 브렉시트의 여파, 저성장 기조 지속 등이 약점으로 작용


 - (독일) 국가 차원의 활발한 연구개발 및 특허 지원에 반해, 연구개발 세제혜택 부재, 디지털 특허 출원 미진, 혁신적 창업 활동 부족 등이 거론


 - (한국) 기업 규제 제약(: 정부의 전자정부시스템 내 대기업 공공조달 참여 제한), AI 등 첨단산업분야 고급인재 부족, 산학연 연계 미흡, 소극적 국제 특허출원 활동


< 주요 글로벌 국가별 혁신 정책의 강점과 약점 >

국가

강점

약점

미국

Manufacturing USA 프로그램 실시

연구개발 성과의 효율적 상업화 및 기술 이전 장려

강력한 지적재산권 보호

연방정부 연구개발 투자 미진

민간부문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부족

최상위 국가 혁신조직 부재

중국

과감한 연구개발 투자

국가 교육제도 개혁을 통한 첨단과학기술 인재 양성

국가 주도형 종합적 혁신체계

혁신 인센티브와 실질적 성과 간 연계성 미흡

내수시장에 안주하려는 중국 기업의 낮은 혁신 의지

지적재산권 보호 미진

유럽

연합

혁신을 유도하는 확실한 재정적 지원

디지털 정부 구축 지원

자유로운 공공데이터 교류에 대한 합의 도출

단일 혁신체계를 향한 Digital Single Market(DSM)의 불확실성

디지털 시대에 뒤처지는 지적재산권 정책

Europe2020 연구개발 투자목표액 달성 부진

영국

타국과의 협력적 연구 및 혁신

United Kingdom Research and Innovation (UKRI) 설립(2018)

유럽혁신지표 및 글로벌혁신지수 상위권 유지

브렉시트 여파

과거 미진한 연구개발 투자

영국 역사상 유례없는 저성장 지속

독일

활발한 연구개발 및 특허 지원

효과적인 직무교육 체계 운영

정부출연연과 민간기업 간 긴밀한 공조

연구개발 관련 세제혜택 부재 및 디지털 특허 출원 미진

STEM 분야 전문가 부족

혁신적 창업 활동 미진

한국

혁신주도 성장 정부 정책

고등교육 진학 및 R&D 지출

규제 샌드박스

정부개입 및 엄격한 규제 환경

첨단분야 인재 및 산학연 공동연구 부족

지식 재산권 정책 및 상업화 미흡


출처 : 정보기술혁신재단(2019.6.13.)
http://www2.itif.org/2019-national-innovation-policies.pdf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