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2019년 국가 인공지능 연구개발 전략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실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06-21
  • 등록일 2019-07-19
  • 권호 147

□ 과학기술정책실은 인공지능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국가 최상위 전략계획 보고서를 발표*(’19.6.)


  *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R&D Strategic Plan: 2019 Update


  ※ 2019년 2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Maintaining American Leadership in Artificial Intelligence) 이후, 미 연방정부의 인공지능 연구개발 이니셔티브가 급속도로 강화

 
○ 미 연방정부는 ’16년에 발표한 AI 연구개발 전략계획 발표 이후, 최근 AI  연구개발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3년 만에 개정하여 총 3개 부문으로 구조화


 - (범분야 기반) 윤리적・법적・도덕적 함의, 안전・보안, 공공데이터 제반환경, 기술표준・벤치마킹, 인공지능 연구개발인력, 민관파트너십 등 총 8개 전략 포함


 - (R&D분야) AI 진전에 필요한 많은 연구개발 분야를 포함하여 설명


 - (응용분야) 농업, 정보통신, 국방, 교육 등에 걸쳐 영향력 있는 발전과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회에 환원


< 2019년 미국 국가 최상위 인공지능 연구개발 전략계획의 틀 >


○ AI R&D 전략 연구 우선순위는 기업이 해결하기 어려운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미국의 주도권 유지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강조


  ※ 전략계획은 NSTC 산하 AI 선정위원회, 기계학습・인공지능(MLAI)소위원회, 네트워킹・정보기술연구개발(NITRD) 소위원회를 통해 권고안을 수립


 ▪【전략 1】인공지능 연구개발 투자시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


 - 투자전략 가운데 최우선 전략으로 단기적・일시적 투자를 벗어나 장기적・지속적 투자를 유지하는데 있음


 ▪【전략 2】인간・인공지능 간 협업을 유도하는 효과적 방안 강구


 -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교류와 협업을 획기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연구 필요 


  ※ 관련기술은 인간인지형(Human-aware)과 인간지원형(Human-augmentation) AI임


 ▪【전략 3】인공지능의 윤리적・법적・사회적 함의에 대한 이해 증진


 - 윤리・법・안전 등 인공지능의 발전이 가져올 위험요인과 다양한 측면의 변화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연방정부 차원의 투자가 중요


 ▪【전략 4】인공지능 시스템의 안전・보안 확보


 - 사용자가 명확히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사용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방식의 시스템, 사용자가 의도한 그대로 운용되는 시스템 구축


  ※ 현재는 인공지능 기술 적용의 결과에 대한 예측 및 추정방법이 부재


 ▪【전략 5】인공지능 교육・시험을 지원하는 공공데이터와 제반 환경 구축


 - 인공지능의 복잡성 이외에도 인공지능과 사용자간 상호교류시 안전한 인공지능 제어 필요


  ※ 공공데이터 공유를 위한 투자 확대 및 인공지능 제어에 대한 집단지성 형성


 ▪【전략 6】기술표준과 벤치마킹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관련 과학기술 평가 실시


 - 인공지능 시스템을 진단하고 평가 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의 기능성 및 호환성 검증의 필수요소임


 ▪【전략 7】국가 전체 차원에서 인공지능 연구개발 인력 수요 파악 및 양성


 - 인공지능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고, 이에 따라 전문가 양성과 적재적소의 배치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


 ▪【전략 8】민관협력 확대를 통한 인공지능 발전 가속화


 - 새롭게 추가된 전략으로 민간부문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채택도 빈번해지면서 민관협력의 필요성이 제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