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5G, 2034년까지 아・태 경제에 8,900억 달러 기여할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GSMA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6-26
  • 등록일 2019-07-19
  • 권호 147

□ (개요) GSMA, ‘The Mobile Economy Asia Pacific 2019’ 발간


  ※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주관하는 ‘MWC 2019 상하이’ 행사(6.26일)에서 동 보고서를 공개


○ 한국이 세계 최초로 5G 전국망을 상용화(4.3일)하며 글로벌 시장 분위기가 한층 고조되었으며 아/태 각국에서도 5G 투자 열기 확산


○ 아직까지 4G 시장 지배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신규 5G망 투자가 증가하면서 ’25년 아/태 지역 5G 상용화 국가는 24개로 증가할 전망


○ 5G는 광범위한 산업과 접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면서 ’34년까지 아/태 지역 경제에 8,900억 달러 기여할 것으로 추산 


○ 아울러 전체 모바일 기술・서비스는 아/태 지역 경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25년 1조 9,000억 달러 규모의 기여할 것으로 관측


□ (주요 내용) 5G망 신규 투자 3,700억 달러, 경제 기여 규모 8,900억 달러 예상


(4G 시장우위) 4G는 ’18년 아/태 지역 모바일 가입자(Connections) 시장의 52%를 차지했으며 ’25년에도 68%에 달해 전체 모바일 시장의 2/3 이상을 점유할 전망


  ※ 5G는 ’25년 18% 예상


<  이동통신 세대별 가입자 비율(Percentage of connections) > 

AA.PNG


    ※ 자료 : GSMA


(네트워크 투자규모) ’25년까지 아/태 지역 모바일 사업자의 네트워크 투자규모는 5,740억 달러로 전망되는데 이 중  5G망 신규 투자가 3,700억 달러로 2/3를 차지할 전망


 - 특히 중국의 5G망 투자규모가 ’25년 1,840억 달러에 이르며 아/태 지역 5G 투자의 절반 이상 차지할 것으로 예측


<  ’25년까지 5G 네트워크 설비투자 규모 전망 > 

A.PNG


    ※ 자료 : GSMA


(5G 상용화) 한국을 시작으로 5G 시장 분위기가 고무되면서 다수의 국가에서 5G 상품・서비스 출시가 이어지는 분위기이며 ’25년까지 동 지역 24개국이 5G를 상용화할 전망


- 호주・홍콩・필리핀・괌・북마리아나제도연방이 연내 5G 서비스 대열에 동참하고 ’20년에는 중국・인도・일본・마카오・말레이시아・뉴질랜드・싱가포르・스리랑카・대만・베트남 등이 서비스 개시 예정


< 아/태 국가의 5G 상용화 일정 >

AAA.PNG


    ※ 자료 : GSMA


(경제 기여 규모) 고용창출, 생산성 향상 등 모바일 산업과 5G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끼치며 경제성장에 기여할 전망


 - 전체 모바일 기술・서비스 산업은 아/태 경제 성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18년 1,650억 달러 규모의 경제적 기여를 한데 이어 ’23년에는 1조 9,100억 달러에 달할 전망


  ※ ’18년 1,800만 명의 고용 창출


- 5G는 △제조・유틸리티 △전문・금융서비스 △ICT&무역 △공공서비스 △농업・광업 등 광범위한 산업과 접목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면서 ’34년까지 8,900억 달러 규모의 경제적 기여를 달성할 전망


< 모바일 및 5G 산업의 경제 기여 규모 예측 >

AAAA.PNG

  ※ 자료 : GSMA


(모바일 가입자 수) ’18년 아/태 지역 순 모바일 가입자 수(Unique Mobile Subscribers)는 동 지역 인구의 67%에 달하는 28억 명에서 ’25년 31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신규 가입자는 인도・중국・필리핀・파키스탄・인도네시아・방글라데시 등 주요 6개국에 집중


○ 이 외에도 모바일 인터넷 가입자 수(’18년 19억 명→’25년 27억 명) 스마트폰 가입자 비중(’18년 61%→’25년 83%), IoT 가입자・기기(’18년 35억 개→’25년 110억 개) 등으로 예측


○ GSMA는 동 보고서에서 5G가 현실화 되어 가면서 아/태 국가 정부와 규제 당국에서 네트워크 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우호적 사업 환경을 적극 조성하고 사업자가 디지털 서비스를 모든 아시아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것을 적극 당부


□ 5G 시장우위를 이어가기 위한 끊임없는 투자와 지원 필요


○ 4차 산업혁명의 촉매제가 될 5G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아/태 지역에서도 투자와 지원을 위한 노력이 확산


  ※ 아/태 지역은 세계 약 40%를 차지하는 대규모 인구를 기반으로 모바일 가입자, 스마트폰 보급률 등이 빠르게 증가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내재


○ 특히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이자 5G 신규 투자에 대대적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중국의 잠재력은 매우 위협적이며, 인도・베트남・인도네시아 등도 모바일 가입자가 빠르게 증가하며 성장세


○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 5G 상용화 타이틀을 확보하며 시장 포문을 여는데 성공했지만 주도권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와 후속조치 등을 적극 이행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