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제조업의 미래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3-11-15
  • 등록일 2013-10-30
  • 권호 10

□ 영국 정부는 경제의 필수적인 요소인 제조업이 향후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전망하고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을 제시


전체 GDP의 10%,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R&D의 4분의 3이 제조업에 투자되고 250만의 노동자가 제조업에 종사


다음과 같은 제조업의 변화 추세는 영국 제조업이 해결해야 할 도전이자 많은 기회를 제공


제품에 서비스를 포함시켜 하나의 패키지로 생산하는 방식이 증가


? 제품 사용법에 대한 정보 제공과 데이터 공개


? 기술기반의 지식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제조자(공장없는 제조자)의 출현


? 자원 문제로 인한 재생산 제조업자의 출현과 성장


소비자가 개인이 아닌 공동 소비 형태를 갖게 되고 이를 타깃으로 한 제조업의 등장


? 각 부문에서와 부문 간 전략적 협력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 기업가적 통찰력과 경영 능력을 결합하여 신기술을 적절하게 활용


제조업의 변화 추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①소비자에게 보다 빨리 반응하여 밀접한 관계를 형성, ②글로벌 시장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 ③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제품을 개발하며 재활용을 포함한 폐쇄 공정 구비, ④고도로 숙련된 노동 인력 확보 등 4가지를 고려


앞으로 정부는 제조업 부문에서 가치 창출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관점*취하고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데 있어 구체적인 단계를 목표로 설정**하며 장기적인 정책을 평가?조정하는 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


* 제조업이 더 이상 제품 자체의 생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의 많은 부문과 연계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제품 생산 이전과 이후의 활동 과정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함을 인식


** 통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구체적으로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부문을 파악하고 이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