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9년 상반기 중국 로봇 산업 6대 이슈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지능제조망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7-02
  • 등록일 2019-08-02
  • 권호 148

□ 중국지능제조망(中国智能制造网), 상반기 로봇 산업 이슈 정리


 (#1) 로봇기업의 로봇 시장 진출


 - 부동산 개발 기업인 컨트리가든(Contry Garden)이 광둥(广东)에 브라이트 드림 로보틱스(Bright Dream Robotics/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를 설립(’18.7)하고 금년 상반기 로봇 사업 본격화


  ※ 브라이트 드림 로보틱스는 로봇 본체 및 핵심 부품 개발을 추진하면서 건축업, 요식업, 물류관리, 의료, 농업, 스마트홈, 제조업 영역에 쓰이는 로봇과 스마트 장비 및 시스템을 개발


 - 5년 간(’18~’23) 800억 위안(85,060억 원)을 투자하고 전 세계적으로 만 명 이상의 고급 인력을 모집하겠다고 선언하며 순더(顺德)10의 로봇밸리를 조성해 로봇 산업 진출 공식화


 - 올해 3월 양회 기간 동안 로봇밸리 현장을 개방했으며 공장과 사무동 완공 후 시운영에 돌입, 4월에는 창사(长沙)시 정부와 협력해 500억 위안 규모의 과학기술산업 단지 조성과 로봇 중점 발전 계획을 발표


  ※ 컨트리가든 내부 회의에서 건축 로봇이 현장에서 시운영되고 있음을 공개(19.6)


(#2) 다수 로봇 관련 기업의 과창반입성


  ※ 과창반은 시진핑 국가 주석 주도로 창설된 기술창업주 전문 주식거래 시장


 - 6.13일 과창반이 정식 개장됨과 동시에 여러 로봇 관련 기업이 입성


 - BR로봇(BR-Robot), 보존(bozhon), 티지텍(TZTEK), 아크소프트(ArcSoft), 몽타주 테크놀로지(MONTAGE TECHNOLOGY) 등의 기업이 대표적


 - 대부분은 시스템 통합 기업으로 주로 산업용 로봇 로우엔드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시스템통합 사업을 전개


 - 이는 중국 시스템 통합 방면의 경쟁력을 드러냄과 함께 하이엔드 분야에서의 발전 필요성을 시사


(#3) 로봇기업 임원들의 빈번한 교차 이동


 - 외국계 기업의 중국 시장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중국 본토 기업의 경쟁력이 상승한 것이 변동의 주요 요인인 것으로 분석


< 네이버, 일본 자회사 라인과 제휴해 네이버페이 서비스 제공 >

기업

내용

에버윈 프리시전

(Everwin Precision)

중국 로봇제조회사 에버윈 프리시전은 천먀오푸(陈苗圃), 차이밍(蔡明) 이사와 부총경리인 니원카이(倪文凯)의 사직 발표(’19.1)

쿠카(KUKA)

독일의 로봇기업인 쿠카는 CEO 틸로이터(Till Reuter)의 이직 사실을 공개(’19.1)

카이얼다(Kaierda) 로봇

일본 산업용 로봇업체 야스카와전기의 총경리인 니시다와 세이고(Nishidawa Seigo)가 카이얼다 로봇의 총경리로 부임(’19.3)

ABB

로봇공학 다국적 기업 ABB의 이사 겸 CEO였던 율리히 스피어스호퍼(Ulrich Spiesshofer)는 트위터로 사직 사실을 언급했으며 이사회 회장인 피터보저(Peter Voser)가 임시 CEO로 일임(’19.4)

  ※ 자료 : 언론 보도 자료 정리


(#4) 로봇 산업 중심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스마트+’ 발표


 - 금년 양회에서 로봇 산업 집중 육성 등을 포함한 스마트+’ 정책을 제시(’19.3)


  ※ 스마트+ 정책은 제조업에 빅데이터, AI, IoT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을 활용하는 것


 - 산업인터넷 플랫폼을 구축하고 '스마트+' 영역을 개척해 스마트 기술과 제조업의 융합을 도모


 - 동시에 신흥 산업의 발전을 가속하기 위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등 연구개발과 응용, 교육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 피력


 - 정보기술, 하이엔드 장비, 바이오의약, 친환경 자동차, 신재료 등 신흥 산업군을 육성해 디지털 경제를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디지털 경제와 스마트 제조 발전의 중심으로 로봇 산업을 지정


(#5) 로봇 관련 직업군 첫 공식화


 - 인사부연합 국가시장관리감독총국, 국가통계국은 인공지능로봇드론 등의 영역에서 로봇시스템 조작원산업용 로봇 시스템 운영유지원 등을 포함한 13개의 새로운 직업군을 발표(’19.4)


 - 로봇 관련 직업군이 정식으로 출범되어 로봇 산업 인재 확충과 함께 로봇 산업의 확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


(#6) 100여 곳의 학교에 로봇 전공 개설


 - 3.29일 중국 교육부가 발표한 ‘2018년 대학교 본과 전공 심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내 35개 대학교에서 인공지능 전공을 개설했으며 101개의 대학교는 로봇 엔지니어링 전공 개설


 - 하얼빈공대는 중국 처음으로 로봇 해양 전공을 개설했으며 저장대학베이징대학 등 여러 학교에서 AI와 로봇 관련 전공 및 단과대를 설립해 금년 하반기에 신입생을 모집할 계획


 - 로봇 인재 육성을 강화해 부족한 고급 인력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산업 발전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