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화학 분야 혁신 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회계감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7-25
- 등록일 2019-08-23
- 권호 149
□ 회계 감사원은 화학제품 생산 및 화학공정과정의 단계별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발표*(’19.7.)
* Chemical Innovation: Technologies for Making Products and Processes More Sustainable
○ 현대생활에 있어 수많이 접하는 일들이 화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미국 총 생산의 26%를 화학산업이 차지하는 등 긍정적인 기여를 해오고 있음
- 반면, 화학공정 및 생산과정 중 유해물질 발생으로 인해 건강과 환경에 부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
○ 화학제품 및 공정 과정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쳐 5단계별로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
1) 천연 원재료 이용을 최대화하고 환경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
2) 화학공정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유해물질을 최소화하거나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방안
3) 재활용이 불가능한 제품 사용을 최소화하고, 제품 사용시에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줄이는 방안
4) 최종 소비자의 사용이 끝난 폐제품의 재활용을 확대하는 방안
5) 혁신적 산업폐기물 처리방법 개발을 통해 재활용 가능성을 확대시키는 방안
< 화학분야 및 공정과정 라이프사이클 >
- 라이프 사이클 각 단계별로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존 기술 또는 개발 중인 기술로 3개 기술 분야의 역할에 주목
∙촉매제(Catalysts) 개발을 통한 화학물 처리과정 가속화, 용해제(Solvents) 개발을 통한 화학제품 생산과정 청결화, 지속적 화학반응을 통해 화학제품 생산과정의 지속성 유지
- 27개 주요 화학분야 기업을 대상 설문조사 결과, 화학제품 및 공정과정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다양한 환경·건강관련 요인을 선정
∙환경·건강 요인 중 중요도는 화학제품·원재료의 독성, 화학공정처리과정 폐기물 독성, 원재료 규모, 온실가스 배출, 에너지 사용, 화학처리물 폐기물규모, 화학처리과정 폐기물 재활용 가능성 등 순으로 나타남
○ 연방정부는 화학제품과 공정과정에서 이와 관련 다양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7개 프로그램을 보건복지부와 환경청 주도하에 추진
< 화학분야내 환경·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원 프로그램 >
연방정부 프로그램 | 연방정부 | 지속가능성 관련 연구 지원 방안 |
국가 독성 관리 프로그램 | 보건복지부 | ◾화학제품이 인류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독성학 분야 연구 수행 |
21세기 독성 관리 프로그램 | 보건복지부 및 환경청 | ◾새로운 방법론 개발을 통한 화학제품의 안전도 예측 수행 |
화학분야 안전 및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 환경청 | ◾화학제품의 특성에 관한 연구 수행 및 화학제품 위험도 평가 자료 구축 |
선도과학 발전 프로그램 | 환경청 | ◾첨단화학제품의 속성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학문적 연구 자금 지원 |
환경 및 건강과학 국립연구소 | 보건복지부 | ◾화학제품이 인류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제반 연구 자금 지원 |
주요 신규정책 개발 프로그램 | 환경청 | ◾대기질 개선법(Clean Air Act)에 따라 오존파괴 최소화 방안에 대한 평가 수행 |
대 화학전 위험 관리 프로그램 | 국방부 | ◾유해화학물질 위험 관리 방안 모색 |
- 화학 분야는 새로운 제품과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일자리 창출 및 인간의 건강·환경 개선 등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관련 기술개발
이 중요
- 산업 컨소시엄을 통해 핵심 지지자와 협력하여 지속가능한 화학을 우선순위로 하는 국가 이니셔티브 구축
- 화학원리를 교육 프로그램에 통합하여 새로운 화학자 양성 등을 독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