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산업전략기금 투자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Innovate UK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7-25
- 등록일 2019-08-23
- 권호 149
□ 영국 Innovate UK 및 UKRI는 산업전략기금(ISCF)을 통한 스마트 제조, 양자, 데이터 의료진단 기술 투자계획을 발표(’19.7.)
○ 영국 정부는 생산성 및 구매력 증대를 위한 국가 장기전략인 산업전략(Industrial Strategy)의 일환으로 산업전략기금을 조성
- 본 기금은 국가 R&D 투자기금의 핵심으로 ’16년 영국 산업이 직면한 4대 도전과제 극복을 위해 4년간 47억 파운드 규모의 R&D 투자계획을 발표
< 영국 산업전략의 4대 도전과제 >
도전과제 | 목표 | 미션 |
AI 및 데이터 경제 (AI & Data) | - 인공지능 및 데이터 혁명 선도국 입지 확보 | - 데이터 및 AI를 활용해 2030년까지 만성질환 예방, 조기 진단 및 치료 혁신 |
청정 성장 (Clean Growth) | - 청정성장의 트렌드 | - ’30년까지 신축 건물 에너지 소비 절반 이상 감축 - ’40년까지 세계 최초 탄소제로 산업 클러스터 구축 및 ’30년까지 최소 1개 저탄소 클러스터 구축 |
이동수단의 미래 (Future of Mobility) | - 미래 이동수단 분야에서 세계 선도국 입지 확보 | - ’40년까지 배기가스 제로 자동차 설계 및 제조 선도 |
고령화 사회 (Ageing Society) | - 고령화 사회 요구 충족을 위해 혁신 역량 활용 | - ’35년까지 빈부 격차를 줄이며 최소 5년의 추가 건강을 보장 |
- 도입 이후 Airbus, Saga Robotics, Oxford 대학, Jaguar Land Rover, 왕립오페라하우스 등 연구기관, 대·중소기업, 자선단체 등 총 1,820개 기관 지원
※ 1·2차 투자시 497개 프로젝트 9.86억 파운드 투자가 수행되고, 현재 3차 투자 진행 중
< 산업전략기금 지원과제 현황 >
구분 | 지원과제 |
1차 투자 프로젝트 | - 신약 및 치료의 환자 접근성 향상을 위한 첨단 신약제조기술 - 극한 환경에서 활용되는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시스템 개발 - 첨단 전기자동차 배터리 개발 - 복잡한 환경에서 운영가능한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및 제어시스템 개발 - 우주항공분야에서 활용가능한 차세대 초경량 복합소재기술 개발 등 |
2차 투자 프로젝트 | - 조기진단 및 처방을 위한 데이터 기술 - 고령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효과적인 맞춤형 케어제품 및 서비스 개발 - 탄소배출, 폐기물, 토양침식 등 감축하는 지속가능한 식량생산기술 개발 - 양자기술 분야 기초원천 기술개발, 차세대 서비스산업 진흥 지원 - 가상현실 등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미래기술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등 |
3차 투자 프로젝트 | - 질병 조기진단 및 처방 기술 가속화 - 양자기술의 상업화를 위한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 지원 - 산업 탈탄소화 위한 저탄소 기술 개발 - 제조업 생산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포장기술 개발, 기반산업 혁신 지원 등 |
○ ’19년 영국 정부는 산업전략기금(ISCF)을 통한 투자계획을 발표
1) 스마트 제조
○ IoT, 로보틱스, 인공지능 등 영국 제조업의 생산성 증대를 가져올 디지털 기술에 3,000만 파운드 예산 투자
- 산업전략기금 내 스마트제조챌린지에 의한 산업 디지털화를 통해 ’30년까지 제조업 생산성을 30% 증대
<주요테마>
1)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제조공정을 최적화하는 스마트 팩토리
2) 정보 통합, 커뮤니케이션, 추적 가능성, 신뢰도 등을 포함한 고연결성 다용도 공급체인 기술
3) 가상제품 검증, 모델링, 품질검사 등을 통한 제품 설계·제작·테스트 기술
4) 인간중심의 자동화, 문화적 변화 및 기술발전에 따른 유연하고 적용 가능한 제조 운영
2) 데이터 의료 진단
○ 연결기술(linking technologies),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진단기술 개발을 위해 2천만 파운드 투자
- 산업전략기금 내 조기진단 및 정밀의학 챌린지(1.2억 파운드 규모)를 통해 효과적이고 신속정확한 개인의 건강상태 진단·처방 지원
<주요테마>
1) 디지털 이미징, 유전학, 병리학 및 기타 기술 분야 역량 구축
2) 조기진단 및 의약처방을 위한 데이터 통합, 분석, 해석 및 시각화 기술 개선
3) 통합적 진단을 위한 산업 내 연구개발 가속화
4) 산업계와 국가보건서비스(NHS), 연구계의 지속적 협력 지원 등
3) 양자 기술
○ 양자기술 상업화를 위한 제품·서비스 기술 개발을 위해 3,300만 파운드 투자
- 2세대 양자 기술에 투자하여 자동화, 보건, 인프라, 정보통신, 사이버보안, 국방 등 여러 분야 내 상업화 지원
<주요테마>
1) 화물 및 저장창고 내 데이터 확보를 위한 연결기술 및 기법 개발
2) 자동화 시스템 내 상황인식 기술, 교통·인프라 등에 사용되는 센서 및 탐지기 기술, 탐지가 불가한 대상에 대한 이미징 및 센싱 기술
3) 기존에 처리 불가능 하였던 문제해결을 위한 혁신적 컴퓨팅 기술
※ 상기 3개 분야의 2세대 양자기술을 반드시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