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소프트뱅크 첨단산업 투자 가속…비전펀드 2호 출범 결정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경제신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7-27
  • 등록일 2019-08-23
  • 권호 149

□ 운용 규모 1,08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비전펀드 2호’ 조성 발표(7.26일)


○ 소프트뱅크는 미래 성장동력 투자와 발굴을 위해 설립한 ‘비전펀드 1호(’17.5월)’가 긍정적 성과를 거두면서 2년 만에 ‘비전펀드 2호’를 마련하기로 결정(7.26일)


 - 비전펀드 1호는 사우디아라비아 공공투자펀드와 아랍에미리트 무바달라 등 중동의 대규모 국부펀드 자금을 유치하면서 공유경제·반도체·자율주행·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영역(약 80개社)에 투자


 - 이에 펀드 자금의 소진과 추가 투자를 필요로 하는 스타트업·기업이 늘어나면서 2호 펀드에 대한 필요성 증대


  ※ 비전펀드 1호의 주요 투자처: 우버, 디디추싱, 그랩, 쿠팡, ARM, 엔비디아 등이며 순자산 기준 연 수익률은 약 45%(일본경제신문, 7.26일)


○ 비전펀드 2호는 기존 1호 펀드(1,000억 달러)보다 운용 자금을 소폭 확대한 1,080억 달러 규모로 특히 인공 지능(AI) 투자를 강화한다는 방침


 - 소프트뱅크가 최대 주주로 38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애플·폭스콘·MS 등 글로벌 IT기업과 스탠다드 차타드은행(英,) 미즈호은행, 미쓰비시UF은행, SMBC닛코증권 등 금융사도 대거 참여 예정


 - 비전펀드 2호 결정을 계기로 소프트뱅크는 2, 3년마다 새로운 펀드를 마련해 AI·자율주행 등 첨단 산업 투자를 확대한다는 구상


<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개요 >

비전펀드 1

구분

비전펀드 2

20175

출범

20197월 조성 발표

1,000억 달러(118조 원)

운용 자금

1,080억 달러(128조 원)

소프트뱅크 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국부펀드, 애플, 퀄컴, 폭스콘 등

참여 기업

소프트뱅크·애플·폭스콘 등 기존 투자자 합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국부펀드는 참여 논의 단계

MS·골드만삭스·스탠다드 차타드 은행 등은 새로운 투자자로 참여

우버, 엔비디아, 위워크, 플립카드, ARM

주요

투자 대상

첨단 산업 분야 투자에는 변함없으나 특히 AI 분야에 집중 계획

  ※ 자료 : 언론 보도 자료 정리

 

‘AI First’ 제창하는 소프트뱅크…향후 행보에 글로벌 이목 집중


○ 지난 6월 주주총회에서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은 ‘AI 지휘자가 되고 싶다’고 발언하며 AI 투자의 중요성을 적극 피력


○ 아울러 글로벌 선도국은 이미 AI 연구개발 단계를 거쳐 응용·활용 시기로 진입한 반면 일본은 뒤처진 상황이라며 ‘비전펀드 2호’의 조성 배경을 설명


 - AI 기술이 진전되면서 향후 10년 간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의료 △교통 분야에서 가능 큰 혁신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


 -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일본이 신속히 대응하지 않으면서 AI 후진국이라는 위기감을 체감한다고 밝히며 업계의 투자를 적극 독려


○ 또한 한국이 인터넷 강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AI 강국으로 거듭나야한다고 조언(7.4일)


 - 첫째도 AI, 둘째도 AI, 셋째도 AI라며 교육·정책·투자·예산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전폭적인 AI 육성안을 마련할 것을 제언


○ AI가 대중화·보편화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과감한 차세대 기술 투자로 글로벌 연대를 강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소프트뱅크의 궁극적 목표


 - 비전펀드 1호가 AI 핵심 칩을 개발하는 엔비디아·ARM 등에 투자한 것도 이 같은 비전과 부합


  ※ 엔비디아: AI 시대 정보처리 속도를 높여줄 GPU 기술력 / ARM: 방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저전력 반도체 설계기술이 강점


□ AI 분야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선제적이며 과감한 투자 필요


○ 대내외적 환경변화로 성장 잠재력이 저하되고 주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면서 차세대 성장을 주도할 새로운 산업군의 선택과 집중 육성이 절실


○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일본 소프트뱅크는 기술투자 기업으로 비즈니스를 다각화하여 성장 잠재력 있는 미래 유망 산업에 적극 투자를 단행


○ 국내 기업도 급변하는 ICT 산업 패러다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극적 투자와 지원 방안을 모색하며 성장동력 조기 발굴과 확보에 최선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