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AI 제조업 혁신과 미래 일자리 영향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정보기술혁신재단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8-06
- 등록일 2019-09-06
- 권호 150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AI가 불러올 미래의 첨단제조업 혁신과 일자리, 새로운 업무능력에 미칠 영향을 분석*(‘19.8.)
* The Manufacturing Evolution : How AI Will Transform Manufacturing & the Workforce of the Future
○ AI는 첨단제조업 부문에 혁신을 가져올 전망이며, 비즈니스모델 및 맞춤형 제품 개발, 제조과정 관리 예측, 제품 서비스화 등에서 큰 성과가 예상
- 설문조사 결과, 14%의 첨단제조업 기업이 향후 5년 안에 AI 기술을 생산현장에 적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외 63% 기업이 5년 내 AI 기술을 도입할 것으로 답변
- AI 기술은 크게 컴퓨터화, 연결성 확대, 가시성 확보, 투명성 증대, 예측성 강화, 적응성 마련 등 6가지 단계를 거쳐 첨단제조업 진화에 기여할 전망
< 디지털 시대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제조업 진화 단계 >
○ 4차 산업혁명 도래로, 가장 뜨는 AI 일자리를 현재 단기・장기 미래로 전망
- 이미 각광받고 있는 일자리는 43%를 차지하는 데이터 과학자・데이터 분석가이며, 그 외 35% 기업은 향후 5년 내 신규 채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있음
- 머신러닝 공학자, 협력형 로봇(코봇) 전문가, 데이터 품질 분석가, AI 프로그램・소프트웨어 개발자 역시 20% 넘는 기업에서 채용
- 그 외 인간・컴퓨터 상호협력 전문가, 데이터 해석 전략가, 인지시스템 공학자, 알고리즘 분석가, 기계 상호교류 매니저 등으로 조사됨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뜨는 AI 일자리 전망 >
○ 일자리는 인간 중심의 생산활동과 기계 중심의 생산활동, 인간과 기계의 협업이라는 범주에서 새롭고 다양한 융합 업무능력(Fusion Skill)이 요구됨
- 주도, 공감, 창조, 판단 등 인간 중심의 생산 활동은 AI 도입으로 새로운 업무 영역을 창출하고, 교류, 반복, 예측, 적응 등 기계 중심으로 이루어진 생산 활동은 근로자 업무영역 확대, 기계와 근로
자간 소통 등 기존 기계 업무 영역 확대
- 새로운 융합 업무능력은 AI와 인간의 상호 학습주도력이며, 생산과정을 재편할 수 있는 업무능력도 중요시 될 전망
< 4차 산업혁명 시대 AI 도입에 따른 인간과 기계의 공존 >
○ AI 도입을 준비하는 첨단제조업 기업이 필요한 전략 제안
- (AI 도입 선도 조직 구성) AI통제센터 또는 디지털비즈니스 팀 등 첨단제조업 기업은 AI 전담조직을 구성
- (자체 AI 적용을 위한 AI 거버넌스 정의) AI 관련 프로젝트 방향 설정, AI 개선사항 확인, AI 도입에 따른 실질적 업무 변화 관리
- (근로자 대상 AI 적용 확대) 기업이 가장 필요로 하는 AI 직무능력 규명, AI 신규인재 채용, 기존 근로자를 위한 AI 직무교육 등 준비 태세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