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19년 AI 산업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커가오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8-12
- 등록일 2019-09-06
- 권호 150
□ 중국 과학기술컨설팅기업인 중커까오푸(中科高服)는 「2019 중국 AI 산업 연구보고서」를 발표(‘19.8.)
○ AI기술이 산업사슬 전체에 응용되면서 ’19년 AI 실물경제 산업규모가 570억 위안(9조 313억원)에 이를 전망임
- 보안, 금융, 고객서비스, 의료건강, 소매, 광고마케팅, 교육, 도시교통, 제조, 농업 등 10대 전통산업에 AI를 적용한 현황 정리
< ’18-’22년 중국 AI 실물경제 규모 > | < ’18 중국 AI 실물경제 산업별 분류 > |
| |
1) (보안) ‘18년 중국의 AI 보안소프트・하드웨어 시장규모는 135억 위안에 이를 전망이며, 이중 영상 모니터링이 90%를 차지
- ’18년 도시 공공보안의 AI 보급율은 2.6%이나, ‘20년 시장규모는 453억 위안에 이를 전망
※ 공공안전분야 시장규모는 93억 위안으로 얼굴인식 게이트머신, 경비 등은 진입장벽이 낮아 대부분의 보안제품・솔루션 업체가 시장에 참여
2) (금융) ’18년 중국 전통 금융기관의 과학기술 투자는 1,604억 위안이며, 이중 소프트・하드웨어 포함 AI 관련 투자가 166.8억 위안으로 10.4%를 차지
- 은행업은 AI 관련 응용 주요 투자처로 70%를 차지하고, 대부분은 외부 조달방식을 통해 AI 서비스를 획득
3) (고객서비스) ‘22년 스마트 고객업무 규모는 160억 위안을 넘고, AI기술은 중요한 추진력이 될 전망
- NLP 기술로 고객서비스 업무는 기업서비스, 스마트홈, 스마트웨어러블장치, 차량용 장비, 지능형 서비스로봇, 스마트회의시스템 등으로 확대
4) (의료건강) ’22년 AI 의학영상 시장규모는 10억 위안에 이를 전망
- AI 의학영상제품은 흉부 AI, 심혈관질한 AI 등 수십 종에 이르며, AI 의학영상 상용화는 ‘19년부터 착수되어 각 병원 등급별 총 비용 대비 응용률이 5~8%에 달할 예정
5) (소매) ‘18년 중국 소매업체 디지털화 구축 투자는 285억 위안이며, ’22년 AI 소매 투자가 175억 위안으로 예상
- 대형 매장, 슈퍼마켓, 편의점 등 업종의 소매 브랜드는 신규 소매 주요 응용영역임
※ 알리바바, 징둥, 쑤닝 등 주요 소매업체에 의해 AI 응용을 대표로 하는 신규 소매개념이 성장하여 향후 2년 급성장세를 유지할 전망
6) (광고마케팅) ’18년 AI 동영상 광고 시장규모는 8.8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2년은 63억 위안 예상
- 전통 디지털화 마케팅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AI 시나리오 마케팅, 신속한 광고 개입, 기능성 인터랙티브 마케팅 등으로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
7) (교육) 성인 교육시장의 AI 보급률은 높은 편으로, ’18년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 규모는 2,517억 위안으로 사용자 수가 1.3억명에 달함
- 말하기・듣기 연습, 스마트 문제은행, 그룹 답안지 읽기, 숙제 정정 등의 보급률이 가장 높으며, 온라인 학습 효과 향상으로 사용자는 성숙단계에 진입
8) (도시교통) ’22년 교통시장은 33억 위안으로 예상되며, 소프트웨어 수요 상승으로 더욱 성장 속도가 빨라질 전망
- 베이징, 상하이, 광동 등 1선 도시와 2선 도시는 인프라 단계에서 응용단계로 전환중이며, 향후 교통브레인 프로젝트의 정착으로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
9) (제조) 중국 제조업 정보화 수준이 다르고, 산업사슬이 복잡하여 AI 응용이 ’22년에는 AI 기술의 제조업 디지털 경제 보급률은 1%에 그칠 전망
- AI 기술이 제조업 일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나, ‘18년 중국 공업 디지털화 경제 비중은 18.3%에 불과하여 전체 보급률이 낮은 수준임
10) (농업) 농업디지털화 기반이 취약하고, AI 보급률이 낮음
- ‘18년 AI 농업분야 시장규모는 1.9억 위안이며, 향후 수년 내 급성장하여 ’24년 10억 위안, ‘25년 15.7억 위안 달성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