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글로벌 청정에너지 혁신지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정보기술혁신재단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8-26
  • 등록일 2019-09-27
  • 권호 151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전 세계 주요국 23개 국가를 대상으로 글로벌 청정에너지 혁신지표를 발표*(’19.8.)


  * The Global Energy Innovation Index: National Contributions to the Global Clean Energy Innovation System


세계 기후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국가의 청정에너지 혁신을 지원하는 글로벌 청정에너지 혁신지표를 수립


 - 23개국을 대상으로 청정에너지 혁신에 있어 새로운 핵심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글로벌 청정에너지 지표는 3대 분야와 하위 14개 혁신지표로 구성


 - (옵션 생성) 기초 에너지 과학에 대한 공공투자가 필수적이며, 다양한 청정에너지 개발 포트폴리오 구축으로 기술의 불확실성을 대비


 - (규모 확대) 고부가가치 특허 출원을 통해 상업적 가치가 높은 제품이나 서비스로 전환하고, 탄소포획과 저장(CCS) 등 자본집약적 기술 개발


 - (사회 적합성) 탄소배출가격을 높이고,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국제협력 강조


< 에너지 3대 분야 및 14개 혁신지표 >

3대 분야

혁신지표

분야별

가중치

지표별

가중치

옵션 생성

(Option Generation)

공공부문 청정에너지 R&D 투자

50%

60%

공공부문 기초 에너지과학 투자

25%

청정에너지 R&D 투자 변화

10%

청정에너지 R&D 다양성

5%

규모 확대

(Scale-Up)

기후변화 완화 관련 특허

25%

30%

청정에너지 선도사업 투자

30%

탄소배출가스 포획 및 저장 선도사업

10%

첨단 원자력 에너지 산업

10%

고영향 청정에너지 스타트업

10%

언스트앤영 재생에너지 국가 지수

10%

사회 적합성
(Social Legitimation)

탄소배출가스 가격 동향

25%

50%

탄소배출연료 세금

20%

청정에너지 R&D 비중

20%

청정에너지 R&D 국제협력

10%


국가별 청정에너지 혁신 종합순위 결과, 노르웨이, 핀란드, 일본, 미국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그 중 8위로 아시아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임


 - 상위 3개국은 자국의 경제규모에 비해 글로벌 청정에너지 혁신 시스템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미국은 파리기후협약 탈퇴 의사를 발표했음에도, 4위를 차지하면서 글로벌 청정에너지 혁신에 계속적으로 기여


< 청정에너지 혁신지표 종합 상위 10개국 순위 >

종합

순위

국가

인프라 투자

규모 확대

사회적 적합성

1

노르웨이

2

4

4

2

핀란드

1

14

5

3

일본

4

2

12

4

미국

3

8

15

5

프랑스

5

10

2

6

캐나다

6

3

13

7

독일

10

6

6

8

한국

9

5

10

9

영국

7

13

3

10

덴마크

11

1

7


한국은 기후변화 완화 관련 특허 혁신지표에 있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다양성, 탄소배출가스 가격 혁신 순위가 높게 나타남


< 한국 청정에너지 3대 분야 및 14개 혁신지표별 순위 >

3대 분야

순위

14개 혁신지표

순위

옵션 생성

(Option Generation)

9

공공부문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투자

7

공공부문 기초 에너지과학 투자

12

청정에너지 연구개발비 변화

15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다양성

3

규모 확대

(Scale-Up)

5

기후변화 완화 관련 특허

1

청정에너지 선도사업 투자

11

탄소배출가스 포획 및 저장 선도사업

12

첨단 원자력 에너지 산업

12

고영향 청정에너지 스타트업

14

언스트앤영 재생에너지 국가 지수

16

사회 적합성
(Social Legitimation)

10

탄소배출가스 가격 동향

6

탄소배출연료 세금

8

청정에너지 R&D 비중

11

청정에너지 R&D 국제협력

17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