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포용적 스마트 시티 핵심요인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딜로이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8-28
- 등록일 2019-09-27
- 권호 151
□ 딜로이트는 일반 시민 중심의 포용적 스마트시티(Inclusive Smart City) 육성을 강조한 보고서를 발표*(‘19.8.)
* Inclusive smart cities : Delivering digital solutions for all
○ 미래 첨단과학기술 발전에 대응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중심 도시가 아닌 시민 중심의 포용적인 환경 조성이 필요
- 미국 전역 274개 대도시를 대상으로 지난 40년간의 경제활성화 지수와 포용적 지수*의 관계 연구결과, 일부 예외 도시를 제외하고 매우 밀접하게 나타남
* 경제적 포용성, 인종적 포용성, 사회적 약자의 경제활동 참여기회를 포함하여 개발된 종합 지수
- 기존의 경제발전을 위한 기회비용으로 포용적 환경을 포기해야 한다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탈피
○ 포용적 스마트 시티 조성은 계획-실행-평가단계로 추진되며, 이 과정에서 단계별 내재된 위협요인에 대한 인식 필요
- (계획) 시민에게 일괄적으로 힘든 방식으로 사업 계획 추진
- (실행) 스마트 시티사업 홍보가 부족하여 시민의 이해가 부족할 우려가 있고, 사용자 피드백에 대한 신속한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 (평가) 부적절한 평가기준과 평가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
○ 따라서 시민을 배려한 포용적 스마트 시티 건설을 위한 핵심적인 6대 추진핵심 요인을 제시
① 데이터・보안
- 데이터 공유와 연결 확대 및 공공 데이터관리의 신뢰 저하를 막기 위한 개인정보보호 정책 구축
- 기술주권지침, 효율적인 공공 데이터 교류를 위한 무료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권리 검증・관리
② 에코시스템
- 민간부문, 비영리기구, 공공부문 및 학계는 협력 네트워크 구축
- 복잡한 이해관계자간 데이터 연계 및 공유
③ 도시 내 부문간 협력
- 정부・부서 간 소통, 데이터 공유와 같은 스마트 시티 이노베이션 실현
- 컬럼비아 특별구(D.C.) 정부는 시민과 기업을 위한 자문위원회를 개설하여 광대역 인프라 접근과 같이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한 권장사항을 제공
④ 디지털기술
- 5G의 등장과 고도화된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최적화 환경 구축
- 디지털 연결 격차 감소를 위해 교육기관, 비영리기구, 민간부문의 협력
⑤ 펀딩・금융
- 공공・민간부문의 금융 조달 및 관리로 디지털 기술 확장
- 혁신도전과제를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 등 지역 사회 기여
⑥ 정책・규제
- 시민의 권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개인정보보호 정책 개발 및 관련 커뮤니티간 지속적 소통
- 지자체 정부는 도시전체의 전략계획에서 디지털 포용에 대한 책임과 의지 표명
< 시민을 배려한 포용적 스마트 시티 6대 핵심 요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