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웨어러블 시장, 신제품 출시 등으로 高성장세 지속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Strategy Analytic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8-06
  • 등록일 2019-09-27
  • 권호 151

□ (스마트워치) 애플 우위 속 삼성전자・샤오미 추격에 이목 집중

○ (시장 현황) ’19.2분기 세계 스마트워치 판매량은 1억 2,300만 대로 ’18.2분기(8,600만 대) 대비 44%의 성장률 기록

 - 애플이 570만 대 판매량, 46.4% 점유율로 독보적 1위, 삼성전자가 200만 대・15.9%로 2위를 차지한 가운데 양사의 점유율 격차는 30.5%p에 달했으나 ’18.2분기(33.9%p)대비 3.4%p 축소

○ (업계 현황) 애플이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삼성전자・핏빗・샤오미 등이 건강관리를 비롯한 다양한 차별화 서비스와 디자인을 앞세워 시장 공략에 박차

 - (애플) 심전도 측정, 낙상감지 등 건강 기능에 특화한 애플워치4 판매가 견조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애플워치5 공개(9.6일)를 앞두고 시장 기대감 고조

 - (삼성전자) 길어진 배터리 수명, 사용자 환경 등을 조작할 수 있는 회전 베젤, 전통 시계 형태의 원형 디자인으로 구현한 갤럭시워치 시리즈가 호실적 견인

 - (핏빗) 아마존 알렉사를 내장하여 편의성을 강화하고 숙면상태, 운동량 등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수치・그래프로 제공하는 핏빗 프리미엄 ‘버사 2’를 공개하며 하반기 승부수

 - (샤오미) 운동량・심박수 측정 등 간단한 건강관리와 문자・카카오톡 같은 알림 기능까지 갖춘 미밴드4가 한국 시장에서 4시간 만에 초도 물량 1만 대가 완판(8.20일)되며 흥행


< ’19.2분기 세계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  >

11.PNG

  ※ 자료 : SA, ’19.8.6일


< 주요 업체별 스마트워치  >

12.PNG


  ※ 자료 : 각 사

□ (무선 이어폰) 애플이 주도, 삼성전자뿐 아니라 음향기기 및 중국 업체도 가세

○ (시장 현황) ’19.2분기 세계 무선 이어폰 판매량은 2,700만 대로 전년대비 56%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금년 말 1억 2,000만 대까지 확대될 전망(Counterpoint Research, 8.30일)

 - 선을 없앤 편의성을 강점으로 AI 비서 기능까지 겸비하면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2분기에는 중국 ‘618 온라인쇼핑 페스티벌(6.1∼18일)*’ 시즌과 맞물려 판매량 급증했다는 분석

  * 중국에서 광군제(11.11일) 다음으로 유명한 온라인 축제이자 행사

○ (업계 현황) 에어팟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갤럭시버즈가 점진적으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으며 기존 음향기기 및 중국 업체도 진입을 가속

< 주요 업체별 무선 이어폰 >

13.PNG


  ※ 자료 : 언론 보도 자료 정리

 - (애플) 3월 말 선보인 에어팟2세대 판매가 견조하게 이어지고 있으나 삼성전자 등 후발업체의 추격으로 점유율은 전 분기(60%)에서 다소 하락한 53%를 기록

 - (삼성전자) 갤럭시버즈의 우수한 디자인과 음질을 기반으로 무선충전공유(갤럭시10시리즈) 기능 제공, 이어폰잭을 없애는(갤럭시노트10) 과감한 전략을 구사하며 흥행을 이어간다는 전략

 - (샤오미) 지난 4월 에어닷 후속작인 레드미 에어닷을 기존 제품 절반 가격으로 출시해 저가 시장 강자였던 QCY(중국 음향기기 업체)를 앞서는데 성공

 - (비츠) 애플 산하 브랜드로 3월 자사 최초 출시한 고가의 무선 이어폰 파워비츠 프로가 음향 품질과 디자인 호평을 받으며 프리미엄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


< 무선 이어폰 시장 현황 >

14.PNG

  ※ 자료 : Counterpoint Research, ’19.8.30일

□ 스마트폰을 잇는 차세대 성장동력 ‘웨어러블’,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노력 경주

○ 스마트폰과 연계해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워치, 선을 없애 편의성을 강조한 무선 이어폰이 각각 건강관리 도구, AI 비서 등으로 진화하면서 가파르게 성장

○ 양 시장 모두 애플워치・에어팟을 필두로 한 애플이 선점하고 있으나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한 중국 업체의 진입이 활기를 띠면서 치열한 경쟁을 예고

○ 이에 의료・스포츠 등 각 영역별로 특화된 기술과 규제 환경 등을 고려한 웨어러블 제품・서비스 개발로 잠재 소비자층을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시장우위 노력을 강화

○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패션아이템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고 있는 점도 고려해 창의적이며 세련된 디자인 개발을 위한 타 산업 브랜드와 전략적 협업 방안도 모색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