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4차 산업혁명의 근간 'AI;경쟁력, 미국•중국•EU 순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CENTER FOR DATA INNOVATION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8-15
- 등록일 2019-09-27
- 권호 151
□ 기술 종주국 ‘미국’과 신흥강자 ‘중국’의 AI 패권 경쟁 주목
○ 미국 데이터 혁신센터(Center For Data Innovation)는 주요국 AI 경쟁력을 분석한 ‘Who Is Winning the AI Race: China, the EU or the United States?’ 보고서 발표
- ①연구자 ②연구성과 ③개발과 투자 ④실행력 ⑤데이터 ⑥하드웨어 등 6개 항목과 각각 세부 지표*를 중심으로 AI 경쟁력을 분석
* ▲연구자: AI 연구자 수와 자질 등 ▲연구성과: AI 논문 수, R&D 투자규모 등 ▲개발과 투자: AI 스타트업 및 기업 수, 특허, 벤처캐피탈 투자, M&A 등 ▲실행력: AI 도입 및 실증테스트 ▲데이터: 모바일결제 이용자 수, IoT 데이터량 등 ▲하드웨어: 반도체 R&D 상위 10대 기업, AI 칩 설계 회사, 세계 Top500대 슈퍼컴퓨터 보유 등
- 미국은 연구자・연구성과・개발과 투자・하드웨어 부문에서 선두를 차지했으며 중국은 실행력과 데이터 경쟁력에서 두각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
< AI 경쟁력 순위 >
※ 자료 : Center For Data Innovation, ’19.8월
□ (미국) 전반적으로 고른 경쟁력을 확보하며 글로벌 AI 시장 선도
○ ’17년 기준 AI 전체 연구자 수(2만 8,536명)는 EU(4만 3,064명)보다 적지만 주요 학술 컨퍼런스에 논문을 게재한 우수 연구자 수(1만 295명)는 EU(4,840명)의 약 2배 수준
○ ’17년 AI 스타트업(1,393개), ’19년 AI 기업(1,727개) 모두 중국・EU대비 우위를 차지했으며 ’17∼’18년 벤처캐피탈 및 사모펀드가 AI 스타트업에 투자한 규모도 169억 달러로 선두
○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서비스 기업의 AI 투자규모 상위 100대 순위에서도 미국 기업은 무려 62개가 포진하는 등 압도적 우위
○ 아울러 최근 20년 간(’00∼’19.5월) AI 관련 회사를 가장 많이 인수한 상위 10개 기업 모두 미국이 차지해 월등한 M&A 활동을 전개
- 싱가포르, 중국 저장성 등에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어 이 곳의 생산시설을 적극 활용한다는 구상
< AI 경쟁력 분석_주요 세부 지표 현황 >
※ 자료 : Center For Data Innovation, ’19.8월 / IITP 정리
□ (중국) 과감한 실행력과 데이터 경쟁력으로 빠르게 발전
○ AI 3개년(’18∼’20년) 추진 계획, 중국제조 2025 등 정부의 전폭적인 AI 산업 발전 계획 하에 다수의 기업이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거나 실증테스트를 전개
-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은 32%로 미국(22%)・EU(18%)보다 앞선 것으로 조사
○ 특히 AI 발전에 필수인 데이터 확보 측면에서 경쟁자를 월등히 앞선 것으로 집계
- 개인 소비와 생활패턴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모바일결제 이용자 수가 ’18년 5억 2,510만 명에 달하며 미국(5,500만 명)・EU(4,470만 명)대비 거의 10배 수준
- IoT 데이터량도 1억 5,200만 TB로 미국 6,900만 TB*의 2배 수준
* 1테라바이트(TB)는 1,024기가바이트(GB)
○ 한편 슈퍼컴퓨터 세계 500대 순위에는 무려 219개가 포함되며 수량에서 압도
□ AI를 비롯한 미래 핵심 산업 분야의 경쟁력 확보는 중대한 과제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최첨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이를 둘러싼 각국의 주도권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
- 특히 AI는 산업 전반의 혁신을 유발하는 변화의 발원지이자 국가 역량을 좌우하는 핵심 성장동력으로 글로벌 주요국의 기술선점 노력 활발
○ 우리 정부도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AI 역량 강화가 필수라는 것을 고려해 선도적 투자 강화, 장기 투자 전략 수립 등 연구역량을 총결집한 종합적 대응체계를 강화할 필요
- 데이터・알고리즘・컴퓨팅 자원 등 AI 인프라와 원천기술 및 R&D 지원을 확대하며 AI 기반 성장동력을 지속 업그레이드
- AI R&D 전략(’18.5월), 혁신성장 확산・가속화전략(’19.8월) 등 AI를 아우르는 추진 전략을 강화・확대하고 있는바, 견실한 생태계 구축과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 확보에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