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19년 빅데이터 산업 발전 백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빅데이터산업생태연맹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9-16
- 등록일 2019-10-11
- 권호 152
□ 빅데이터 산업생태연맹과 CCID는 「2019년 중국 빅데이터 산업 발전 백서」를 발표(‘19.9)
○ 빅데이터는 디지털화 전환의 핵심 능력으로 관련 기술과 응용이 신속하게 발전되고 있음
- ’18년 중국 디지털 경제규모는 전년대비 15.1% 증가한 31조 3,000억 위안으로 GDP의 34.8%를 차지
- ‘16~’18년 중국 디지털 경제의 GDP 성장 기여도는 각각 74.1%, 60%를 차지
- 중국은 디지털 정부, 경제, 사회 구축을 포함하여 이와 관련 정부 서비스 역량 향상 및 운영 효율화를 위해 노력 중
< 디지털 중국전략 및 빅데이터 산업간 관계 >
○ ‘18년 기준 빅데이터 관련 국가 차원의 정책이 43개가 발표되었으며, 성 차원의 정책은 347개가 발표된 것으로 집계
- 31개 성 중에서 광동시가 가장 먼저 빅데이터 관리국을 설립하였고, ’15년 저장성, 귀주성, ‘17년 섬서성, 중경, 내몽고, ’18년 길림, 북경, 천진, 산동, 화남, 안휘, 복건성도 주무부처 설립
- (산업) ‘18년 빅데이터 산업규모는 4,385억 위안이었으며, ’21년에는 8,071억 위안에 달할 전망
- (인재) 빅데이터 관련 인재가 부족한 추세라, 데이터과학 및 빅데이터 기술 등 관련 전공 개설을 촉구
- (혁신) 빅데이터 관련 특허 신규 증가는 ‘15년부터 급증하여 ’18년 7,887개, 이중 발명특허 비중 77%, 실용실안 21.7% 수준임
- (지역) 상해, 저장성 등 화동지역은 혁신능력, 정부 서비스 역량에 비교우위가 높은 반면, 동북과 서북지역은 상대적으로 매우 낙후
< 2019년 중국 권역별 빅데이터산업 역량 평가 >
| 종합역량 | 혁신역량 (개) | 정부서비스역량 | 전형적 단지 (개) | 산업규모 (억 위안) | 핵심 지역 | 잠재적 지역 |
화북 | ★★★★ | 4,668 | 80.9 | 15 | 1,210.1 | 베이징 | 네이멍구 |
중남 | ★★★ | 7,246 | 83.6 | 25 | 1,148.7 | 허난, 광둥 | 광시 |
화동 | ★★★★ | 8,635 | 89.1 | 30 | 881.3 | 상하이, 저장 | 안후이, 푸젠, 산둥 |
동북 | ★★ | 801 | 78.9 | 5 | 267.5 | 랴오닝 | - |
서북 | ★★ | 720 | 73.2 | 4 | 249.9 | 싼시 | - |
서남 | ★★★ | 2,432 | 83.2 | 12 | 622.6 | 쓰촨, 구이저우 | 충칭 |
○ 정부, 전자통신, 건강, 공업, 금융 등 각 영역별 빅데이터 산업 8대 추세를 발표
- (정부) 데이터 자원 관리에서 대규모 감독 규제와 서비스로 전환, 중국 정부가 80%의 고부가가치 공공데이터 확보
- (전자통신) 5G, AI 등 응용 분야에 중점을 두고,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
- (건강・의료) 고품질・고정밀 데이터 획득을 통해 건강 의료 서비스 향상
- (공업) 소기업과 특화 기업을 중심으로 공업 설비 데이터 및 응용제품화 추진
- (마케팅) 트래픽 자료를 참고한 온라인 마케팅에서 소비자와의 소통을 통한 정밀 마케팅 운영으로 전환
- (금융) 멀티소스 다차원 데이터 통합을 통해 혁신서비스 지원
- (인재교육) 스마트 의학공학, 스마트 건설, 컴퓨팅 금융, 스마트 차량공학 등 신규 학과를 개설하여 빅데이터 기술 습득이 가능한 융합 인재 양성
- (보안) 기술보안 위주에서 핵심 데이터 자산 정리 및 보호 등 관리 보안으로 메커니즘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