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미래에너지 시나리오 비교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9-12
  • 등록일 2019-10-11
  • 권호 152

□ 세계경제포럼에서는 미래 에너지 체제의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하여 미래 이슈와 정책적 함의를 발표*(’19.9.)


  * The Speed of the Energy Transition Gradual or Rapid Change?


○ 에너지 시스템 발전에 대한 상충된 시나리오가 논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와 정책입안자의 대응방안이 상이해질 전망 


 - (시나리오1) 높은 화석연료 의존도로 인해 파리협정의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며, 첨단에너지 의존도가 절반을 넘어서는 2050년경에 초점을 두고 2080년에 이르러도 여전히 화석연료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


 - (시나리오2) 첨단에너지 과학기술 발전으로 화석연료 의존도는 2020년대 중후반 이후 점차 줄어들면서 에너지 시장 변혁, 기업 전략 변모 등이 발생하고, 2025년경에 초점을 두고 이후 첨단에너지 의존도 상승


< 시나리오에 따른 에너지원 분포 전망 >

 < 점진적 시나리오(1)>

 < 급진적 시나리오(2) >

 28.PNG

29.PNG


 - 점진적 시나리오는 IEA 전망과 유사하게 ‘20년을 전후하여 태양열, 풍력 에너지 비중이 상한선에 이르러, ’40년에  21%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


< 미국 태양열 에너지 발전비용 전망, 2017-2040년 >

30.PNG

 

 - 반면, 급진적 시나리오는 DNV GL사의 전망치와 유사하게 태양열・풍력 에너지가 ‘50년 7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태양열・풍력 에너지의 비중 전망, 2015-2050년 >

31.PNG


○ 위와같이 상반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향후 중요한 정책 이슈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 신에너지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두 입장간 갭이 큰 편이나, 이미 전기 연료는 화석 연료보다 저렴하여 전기자동차가 기존 자동차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 사회전반에 걸쳐 청정에너지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정부는 관련 규제・조정 및 새로운 R&D투자를 확대하고, 민간 기업은 관련 에너지 혁신을 추진할 전망


< 향후 예상되는 에너지 관련 사회적 수요 및 대응 >

3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