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과학기술 인력 발전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기일보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9-10-01
- 등록일 2019-10-25
- 권호 153
□ 중국 정부는 개혁개방 이후 40년간 추진된 중국 과학기술 인력 발전현황을 발표(’19.9)
○ ‘17년 기준 중국의 과학기술 인력은 8,705만 명을 달성하여 현재 세계 1위를 차지
- ’78년 신중국 설립 초기에는 5만명 미만에서 최근까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분야별로 보면 수학, 공학기술, 보건기술, 농업기술, 과학연구 순으로 확대
< 중국 과학기술 인력 규모 >
1) 과학기술인력 규모의 압도적인 증가
○ 중국 정부는 대학 첨단혁신 인력 양성을 위해 세계 일류대학 육성계획인 ‘211공정*’, ‘985 공정**’ 프로젝트 착수 등 다양한 정책으로 인력규모가 급속도로 증가
* ’95년에 21세기를 대비하여 세계 일류의 100대 대학을 만들겠다는 계획
** ’98년 북경대 개교 100주년을 맞아 강택민 주석이 세계적 수준의 일류대학이 있어야 한다는 발표이후, 교육부에서 985공정을 본격적으로 시작(’98년 5월 발표)
- ‘06~’15년간 중국 대학 재학생 수는 1,738만 명에서 2,625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이중 학부 재학생이 943만명에서 1,576만 명으로 크게 확대
2) 인재유치 역량 강화
- ‘94년 중국과학원은 백인계획을 발표하여 해외 우수인재를 집중적으로 유치
※ 과학기술 12차 5개년 계획(’11~’15) 기간 동안 귀국한 인재는 110만 명 이상으로, 지난 30년 귀국한 총 인원의 3배에 해당
- 천인계획 등을 통해 해외 고급 인력이 총 7,000명, 중국과학원이 24년간 유치한 우수 인재는 3,000명이며, 중국과학원과 중국공정원 원사 43명을 배출
- 중국 과학원 100명의 현직 연구소장 중 1/3은 ’백인계획‘ 선정자에 해당
- 최근, 중국의 국력 향상으로 중국 내 유학생의 귀국으로 중국 내 외국인 사업자가 수십만 명으로 증가
※ <2017-2018 국제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해외인재 유치 순위는 23위로 ’14-’15년 대비 4단계 상승
3) 인재 메커니즘 개선
- 국가 과학기술 인센티브, 인재 인센티브, 발명 창조에 대한 주식 인센티브, 연구원 겸직 허용 등 정책 추진
- 최근 중국과학원 상해 신경과학연구소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체세포 복제 원숭이 육성에 성공한 사례는 10년 간 지속적인 인재육성의 결과로 평가
- 출신 배경을 따지지 않고 혁신적 과학 연구환경을 지원
4) 과학기술혁신 성과
- 양자제어, 초전도 등 기초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으로 진입하기 시작했으며, 톈궁 실험용 우주정거장, 선저우 유인우주선, 톈저우 화물우주선, 창어 달탐사 등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창출
- 현재 중국의 국제과기논문은 세계 2위, 발명특허 출원은 7년 연속 세계 1위, 유효 발명특허 보유건수는 세계 3위로 세계 지재권 산출 대국으로 부상
※ 과학기술진보 기여도는 57.7%, 국가혁신능력 순위는 17위를 차지
○ 혁신적 인재가 과학기술 혁신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므로, 세계적 선두자리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지속적으로 인재를 활용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