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18년 첨단기술기업 발전보고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9-20
  • 등록일 2019-11-08
  • 권호 154

□ 중국과학기술전략연구원은「첨단기술기업발전보고서(2018)」를 발표(‘19.9)


○ 과기부 화거센터 통계 결과, ’13~‘17년간 중국 첨단기술기업 수는 5만 9,613개에서 ’17년 13만 6,230개로 급성장세를 지속


 - 지방정부의 첨단기술 육성사업, 첨단기술기업 인정 관리 규제 등의 영향으로 평가


< 2013-2017년 첨단기술기업 수 및 변화 추이 >

1.PNG




(1) 기업인정 관리방법 개정


○ ‘16년 과기부는 <첨단기술기업 인정관리방법>을 개정하여 발표


 - 첨단기술 영역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을 ’08년의 6%에서 5%로 감소 


○ ‘17년 매출액 5,000만 위안 이하 첨단기술 기업 수가 가장 많으며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


< 2013-2017년 첨단기술기업 규모 분포 및 변화 추이 >

2.PNG



○ (기술) 전자정보, 광메카트로닉스, 바이오의약 및 신소재 기술에 집중


 - 전자정보기술 분야의 비중이 34.07%로 가장 높고, 광메카트로닉스는 19.2%, 신소재는 14.7%를 차지


 - 반면, 항공우주, 지구・해양・핵 응용 기술 분야 첨단기술기업 수 비중이 1% 이하로 상대적으로 적음


○ (지역) 광둥성(선전 제외)의 첨단기술 기업수가 2만 개 이상으로 1위이며, 다음으로 베이징시, 저장성, 선전시로 모두 1만 개 이상을 보유


< ’13-’17 첨단기술기업 기술 분포 >

< ’13-’17 첨단기업 상위 4개 지역 >

 3.PNG

 4.PNG


○ ’16년 신규 인정방법 추진 후, 첨단기술기업의 지식재산권이 대폭 증가


 - 발명특허 보유량이 ‘16년 47,881건에서 ’17년 13만 6,990건으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집적회로 배치 설계 지재권 수가 급증 


< 2013-2017년 신규 인정 첨단기술기업의 지식재산권 구성 >

5.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