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韓 AI 스타트업…해외 기업에 매각, 투자 유치 등 기술력 입증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Cognex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10-16
- 등록일 2019-11-08
- 권호 154
○ 머신비전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꼽히는 미국의 코그넥스(Cognex)가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수아랩(SUALAB)을 전격 인수・완료(10.16일)
※ 인수규모, 지분구조 등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약 2,000억 원 규모로 추정하며 수아랩의 창업주 경영권 등은 보장
- ’13년 서울대 출신 AI 연구자들이 설립한 수아랩은 SW 솔루션 기업으로 출발해 ’17년 AI 딥러닝 기반 수아키트(Suakit)를 개발・상용화하는데 성공
- 수아키트는 컴퓨터가 사람처럼 사물을 인지하는 머신비전과 기계에 학습을 시키는 딥러닝을 융합한 플랫폼으로 삼성전자・LG전자 등 국내 주요 대기업 제조현장에서 불량품 감지에 활용
※ 삼성전자・LG전자・한화・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의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불량품 감지에 수아키트 사용
○ 이번 인수로 수아랩 엔지니어링팀을 포함한 전체 조직과 지적재산권(IP)을 확보한 코그넥스는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
- 수아랩의 우수한 딥러닝 IP, 엔지니어링 노하우 등은 코그넥스의 머신비전 센서・시스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비용절감 등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 특히 딥러닝 기술은 공장에서 비정형・불규칙적 불량 등을 정확히 검사 가능
- 코그넥스에 합류한 수아랩 역시 딥러닝 머신비전 솔루션의 글로벌 리더를 목표로 많은 고객에게 더 쉽고 빠르며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전력을 다할 계획
< 수아랩, 코그넥스 기업 개요 >
※ 자료 : IITP 정리
□ AI 분야에서 국내 스타트업의 기술력을 보여준 사례로 주목
○ 수아랩은 ’19.4월 소프트뱅크벤처스와 스톤브릿지벤처스 등으로부터 19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이미 AI 기술력을 인정
○ 이러한 가운데 미국 나스닥 상장사가 2,000억 원 규모(추정)의 대규모 자금으로 수아랩을 인수하면서 국내 AI 스타트업 대표주자로 성장했음을 시사
○ 업계에서는 삼성전자・SK텔레콤・네이버・카카오 등 대기업을 비롯한 국내 스타트업 AI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고 해외 자본의 유치를 확대하는 긍정적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
○ 아울러 그 간 사례가 많지 않았던 해외 기업의 국내 기술 스타트업 인수이자 인수가도 역대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업계 이목 집중
※ 해외 기업의 국내 기술 스타트업 M&A로는 ’12년 인텔의 올라웍스 인수(약 350억 원), 미국 탭조이의 파이브락스 인수(약 400억 원) 등이 대표적
□ 네이버도 AI 스타트업 등 3곳에 신규 투자 단행
○ 기술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설립한 네이버 D2SF(D2 스타트업 팩토리)가 각기 AI・헬스케어・모빌리티 분야에서 차별화 기술력을 보유한 3개 스타트업에 투자
< 네이버가 투자한 국내 기술 스타트업 >
※ 자료 : IITP 정리
□ 기술 스타트업 육성과 성장을 적극 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 방안을 검토
○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ICT 업계는 해외 유망 스타트업의 기술력에 주목하며 과감한 투자를 단행하는 모습
- 특히 미 나스닥 상장사인 코그넥스의 수아랩 인수는 국내 기술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며 기술력을 입증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
○ 국내에서도 유망 기술 스타트업에 관심을 높이고 자금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 세제혜택, 기술이전, 멘토링 등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지원을 적극 강구할 필요
- 주요 기업에서 벤처 육성 프로그램, 투자회사 설립 등 스타트업 육성 노력이 활기를 띠고 있는바, 시장 수요를 반영한 핵심기술 사업화 및 비즈니스 모델로 연결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