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재료기술의 전략적 강화 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11-01
  • 등록일 2019-11-22
  • 권호 155

□ 문부과학성 나노기술・재료과학기술위원회는 재료기술의 중요성 및 향후 연구개발 방향성에 대한 ‘재료기술의 전략적 강화방안’을 제시(’19.10)

○ AI, 바이오 양자 등 첨단기술 분야의 혁신과 Society 5.0 및 SDGs 파리협정의 장기 목표 등의 실현을 위해 나노기술 및 재료 과학에 대한 혁신이 중요 

 - 일본을 견인하는 제조업 부가가치의 원천은 일본이 경쟁력을 보유한 재료 및 디바이스 기술로 수출 총액 중 공업용 소재가 20%를 차지

○ 따라서, 일본정부는 향후 다음과 같이 4대 전략을 추진해 나가야 하며, 재료기술의 혁신이 창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 필요

1) 혁신을 견인하는 재료기술 중점 분야 검토 및 개발

 - AI, 바이오기술, 양자기술, Society 5.0 실현 및 SDGs 달성 등 국내・외 주요 과제 해결* 등을 위해 재료기술

  * 파리협정 등 환경・에너지 문제 대응, 국가・국민 안전 확보, 건강장수 사회 및 바이오경제 구축, 농업혁신 과제 해결

 - ‘Trillion Sensor’ 시대를 맞이하여 Society 5.0 실현의 핵심인 혁신적, 통합적 센서 기술

 - AI 및 양자기술의 혁신 실현, 사이버 공간과 물리적 공간을 연결하는 기반 구축 등에 기여하는 획기적 저소비전력화 및 높은 내구성, 친환경성, 다기능성 등을 실현하는 혁신적 양자・디바이스 기

 - 재생의료 및 고도진단기기 등을 통한 건강수명 연장 실현에 대한 기여를 목표로 재료와 생체와의 일체화 및 인간의 능력 확장 등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바이오재료 및 디바이스

 - 에너지의 대폭 변환 및 저장, 고효율 이용을 실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는 차세대 전지기술

2) 매력적 재료창출기반 구축

 - 파괴적 혁신창출의 가능성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도전정신을 가진 뛰어난 연구자, 특히 신진연구자가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지 않고 일정 기간 장기적으로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을 정비하는 것이 중요

 - 동시에 연구자의 국제연계활동 및 인적교류 적극 추진 및 다양한 응용분야 등에서 아이디어를 획득하기 위해 이분야 융합의 장을 마련하는 것 등이 중요

3) 연구개발의 효율화・고속화・고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 일본의 강점인 연구기반 축적에 AI, IoT, 빅데이터 등 사이버 기술 발전 등에 따른 새로운 접근을 도입함으로써 연구환경과 연구방법 개혁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여 연구개발 효율화, 고속화, 고도화 실현 필요

 - 재료기술 관련 연구개발 활동에서 이용 가능한 첨단설비 및 기기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설비 및 기기의 공용 및 네트워크화를 지금까지 나노기술 플랫폼의 성과와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인력 축적을 활용하면서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함

4) 재료기술 강화에 필요한 정책 추진

 - 재료기술 강화에 있어 연구개발현장의 제반 과제를 해결하고 국제정세를 포함한 사회, 경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노력의 종합적 추진 필요

< 참고: 나노기술・재료 분야의 전략적 추진 방향 >

9.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