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스마트시티 발전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통신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11-01
- 등록일 2019-11-22
- 권호 155
□ 중국통신원(CAICT)은 새로운 스마트시티 구축 및 발전전략을 발표(’19.10)
○ 중국 스마트시티 중점 구축의 핵심요인으로 정층 설계 등 10대 요인 제시
1) 정층 설계(Top-level design)
- 성, 시별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한 새로운 구도 형성
- <스마트시티 정층 설계가이드>(’19.1.)에 따라 국가급 도시(23%), 성급 도시(52%), 중앙 직속 개발도시(94%), 지급시(71%), 현급시(25%)를 대상으로 추진
< 지방 도시 스마트시티 건설 계획>
2) 조직체제 전문화
- 새로운 스마트시티 건설에서 심사관리 제도, 사업 자금 사용 관리감독, 재정 자금 사용 등 업무 공유 및 효율화
3) 스마트 인프라
- 5G 상용화 및 사물인터넷 추진과 사물인터넷 감지 시설 구축
- 올해 말까지 5G 기지국 1만개 이상 건설할 계획 도시는 북경, 상해, 광저우, 심천, 충칭, 청두, 항저우, 선전 등임
4) 스마트 데이터 허브 및 에너지 센터
- 도시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 자원은 더욱 다양화 될 전망
5) 스마트 라이프
- 스마트화 된 ‘초고속 서비스’ 및 데이터 표준화・서비스 네트워크화・자동화 추진
- 슈퍼애플리케이션이 새로운 생활 서비스 기반으로 등장
< 분야별 스마트 기술 생활 서비스 >
6) 스마트 생산
- 지역 산업 디지털화, 디지털 경제 모니터링, 지급(地級) 이상의 도시가 산업 디지털 화 추진의 주된 대상임
7) 스마트 관리감독
- 인터넷+관리를 통해 ‘방관복(放管服, 정부기능 간소화, 권력이양, 서비스 최적화의 줄임말)’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
8) 스마트 에코
- 생태 환경 모니터링 네트워크 하에, 빅데이터 위성・위성 원격 감지・온라인 모니터링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활용
9) 기술혁신 및 표준체계
- 인공지능 전 분야를 융합해 스마트 브레인 구축
< AI 기술 응용 범위 >
10) 안전보장 체계
- 도시 발전과 안전을 위한 사이버 보안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