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인프라 '블로체인' 굴기 가속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브릿지경제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10-28
- 등록일 2019-11-22
- 권호 155
□ 시진핑 국가 주석, 중국 경제의 주요 돌파구로 블록체인 기술 언급
○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공산당 중앙위원회 블록체인 기술개발 현황과 동향에 관한 연구회에 참석하여 블록체인 기술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10월 24일)
- “블록체인 기술을 중요한 돌파구로 삼아야 한다”며 “현재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블록체인 기술 접목에 적극 나서는 가운데 중국은 블록체인 분야에서 훌륭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발언
- 또한 블록체인 기술의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관련 투자를 늘리며 핵심 기술들에 더욱 집중하면서 산업 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부연
- 이 외에도 블록체인으로 더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공정하고 투명한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해 디지털 경제 모델의 혁신을 이뤄나가야 한다고 강조
- 특히 교육, 고용, 연금, 빈곤완화, 의료건강, 상품위조방지, 식품안전, 공공복지, 사회지원 등 민생의 근간이 되는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촉구
□ 시진핑의 블록체인 기술 중요성 강조 발언 이후 정부・업계 움직임 활발
○ 시 주석이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을 언급한 지 불과 이틀 만에 블록체인 기술을 중국 공산당원의 당성(黨性) 강화 교육에 응용한 ‘체인 위의 초심(初心)’ 웹사이트 오픈(10월 26일)
- 공산당원들은 QR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해당 프로그램에 로그인해 ‘입당 초심’을 기록
- 이렇게 생성된 ‘초심 블록’은 영원히 수정할 수도 삭제할 수도 없으며 당원들은 매년 자신의 입당일이나 공산당 창립 기념일에 암호키를 받아 자신이 기록한 초심을 열람
- 또한 웹사이트 내 ‘초심벽(wall)’에 직접 자신의 초심을 적어 모든 사람이 볼 수 있게 공개하거나 메일을 수신할 미래의 날짜를 미리 설정하여 자신에게 발송 가능
- 9,000만 명에 육박하는 중국 공산당원이 블록체인 기술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당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으로 풀이
○ 중국의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가 가상화폐 발행을 위한 암호법안을 가결(10월 26일)
- 법안은 ‘암호’를 국가의 정치・경제・안보 등에 두루 활용될 수 있는 국가 전략 자원으로 규정하고 국가가 체계적 관리에 나선다는 것이 주된 내용
- 또한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상업용 가상화폐가 민간 활용이 가능하려면 국가 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명시
- 법안은 ’20년 1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암호화 기술의 지적재산권을 합법적으로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앞서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한 국영기업도 설립
○ 중국 최대 전력 국영기업 국가전망유한공사(SGCC, 스테이트 그리드)*는 ‘국왕블록체인과기유한회사’를 설립(’19년 8월)
* 국가전망유한공사는 중국 최대 전력 국영기업으로서 중국 정부 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가 100% 지분을 보유
< 국왕블록체인과기유한회사 지분 구조와 특징 >
※ 자료 : 지디넷코리아, ’19.10.28일
- 국왕블록체인과기유한회사는 국가전망유한공사 산하 국왕전자상무유한공사가 자본금 500만 위안(약 8억 2,800만 원)을 투자하여 100% 지분을 보유
- 전력 사물인터넷(IoT)을 위한 슈퍼 네트워크, 시장 공정 거래 안전 인프라, 디지털 경제 신용 보장 등 분야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계획
- 시진핑 국가주석이 블록체인 기술 선점을 강조한 만큼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한 중국 블록체인 산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 블록체인 시장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는 중국
○ 블록체인은 보안성, 투명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고 있어 다양한 산업에서 효율성을 높여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기술로 주목
○ 최근 시진핑 국가 주석은 블록체인의 성장잠재력에 집중하며 블록체인 기술에서 우위를 가져야 한다고 발언
- 이에 중국 정부와 기업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웹사이트를 오픈하고 암호법안을 가결하는 등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블록체인 기술이 확대될 수 있도록 주력하고 있는 상황
○ 우리나라도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다각적으로 강구하는 한편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 발굴하여 글로벌 시장에 적절히 대응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