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20년도 연구개발 기반 예산(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11-08
- 등록일 2019-12-06
- 권호 156
□ 문부과학성 연구개발 기반 WG는 3차 회의에서 연구개발 기반 구축 관련 ‘20년도 예산(안)에 대한 논의 자료를 발표(’19.11.)
①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연구시설 정비・활용 촉진(219억 4,600만엔 증액)
○ 슈퍼컴퓨터「후가쿠(富岳)」 (차세대 「케이」)개발(100억 6,500만엔 증액)
- 일본이 직면한 사회적・과학적 과제 해결에 기여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21~22년 운용 시작을 목표로 세계 최고 수준의 범용성을 지닌 슈퍼컴퓨터 정비 추진
○ 민・관 지역파트너십을 통한 차세대 방사광시설 추진(42억 3,000만엔 증액)
-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차세대 방사광시설(난질 X선용 고휘도 3GeV급 방사광원) 정비
○ 최첨단 대형연구시설 정비 및 공동 활용(70억 5,100만엔 증액)
- 대형 방사광시설(SPring-8), 슈퍼컴퓨터(후가쿠), X선자유전자레이저시설(SACLA), 고강도양자가속기시설(J-PARC) 등 최첨단 장비를 연구자에게 제공하여 최첨단 연구 성과 창출
② 첨단연구기반공용촉진사업(2억 6,800만엔 증액)
○ 산학관이 보유한 연구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 지원대상 : 대학, 국가연구소, 공공시험기관 등
- 각 프로그램을 통해 NMR・방사광시설 등 공용플랫폼 및 70개 연구조직(학과, 전공 등), 대학・기업・공설시험기관 등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구설비・기기 공용 추진
○ 핵심 연구시설 구축지원 프로그램(신규, 6억 7800만엔)
- 총괄부서의 기능을 강화하여 학부, 연구과 등 각 연구조직에서 관리하고 있는 연구설비 및 기기를 연구기관 전체의 연구기반으로서 전략적으로 도입・갱신・공동 이용하는 시스템 강화(핵심연구
지원시설화)
<핵심 연구시설 구축지원 프로그램 >
③ 미래사회창조사업에 45억 4,300만엔 증액
○ 사회・산업의 수요를 근거로 하여 경제・사회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명확한 도전적 목표 제시
※ 1500건 이상의 제안을 받아 중점 공모 주제 13건 선정, 기술 주제 7건 선정
- 탐색 가속형 : 전지구적 과제인 저탄소사회 실현, 세계 최고의 안전・안심할 수 있는 사회 실현,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 초스마트 사회 실현
☞ 탐색연구 약 3년(연간 약 2000만엔), 본격연구 약 5년(연간 최대 약 4억엔)
- 대규모 프로젝트형 : 레이저플라즈마 가속, 초전도접합, 양자관성센서, 초고정밀도 시간계측, 혁신적 접착기술, 혁신적 수소액화기술, 혁신적 열전변환기술 등
☞ 기술실증연구(10년 기준, 1-4년째: 연간 최대 6억엔, 5-10년째: 연간 최대 8억엔)
- 신속한 연구개발관리형 : 많은 참신한 아이디어 모집하고 단계별 최적 과제 편성 및 집중투자로 성공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산업계가 참여를 통한 적극적 중개역할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