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지역간 격차 해소를 위한 신성장거점 전략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브루킹스 및 정보기술혁신재단 공동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12-09
  • 등록일 2020-01-10
  • 권호 158

브루킹스와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공동으로 첨단과학기술 내 점차 심화되고 있는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신선장거점 전략을 제안*(’19.12.)
 

  * The Case for Growth Centers: How to Spread Tech Innovation Across America

○ 첨단과학기술 혁신성과는 대도시에 집중되면서, 지역간 고용 및 생산규모에서 심각한 격차를 초래

 - 지난 48년간(1969~2017) 미국 내 평균 연봉과 고용 수준 격차를 최상위 2%대도시, 중간 대도시, 하위 33% 대도시로 비교해 보면 최상위 2% 대도시에 집중


2-1.PNG


1) 첨단 산업 분야의 지역간 격차

 - ’05년부터 ’17년까지 미국 내 모든 첨단과학기술 혁신 활동 가운데 무려 90%에 해당되는 일자리 증가가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산호세, 시애틀, 샌디에고 5대 대도시에 집중

 - 반면 미국 중서부와 남부, 동부에서 일자리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남


2) 지역 간 혁신산업 격차는 국가적 문제로 대두


대도시 수준별 산업영역별 차이가 모두 크게 나타남


 - 전반적으로 소매업, 건강의료업 근로자 생산 규모가 가장 낮았으며, 기초 제조업은 중간수준, 금융업 혁신 산업부문이 가장 높게 나타남


 - 혁신산업 부문의 경우, 최상위 5%에 해당하는 대도시에서 근로자 1인당 연간 371,306달러 가치의 생산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


 - 따라서 기술허브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인디애나폴리스, 디트로이트, 캔자스 시티 같은 도시가 아닌 상하이, 타이베이, 밴쿠버 같은 도시로 투자 이동

2-2.PNG

첨단과학기술 혁신의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핵심 방안으로 신성장거점 전략(Nwe Regional Growth Center)을 제시


 - 지역간 첨단 과학기술 혁신활동과 성과의 격차는 점차 심화되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향후 그 격차가 더욱 커질 전망


 - 따라서 미국 중서부 지역8~10개의 신성장거점을 형성하여 혁신 지역간 차를 해소하고, 미국 전역에 걸쳐 잠재력 있는 도시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

2-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