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인구감소로 인한 중소기업 정책방향 도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9-12-13
  • 등록일 2020-01-10
  • 권호 158

□ 경제산업성은 인구감소를 비롯한 경제구조 변화에서 중소기업의 방향성에 관한 조사를 발표(’19.12.)


○ 갈수록 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 수요 감소, IT화에 의한 소비행동 변화 등 중소기업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


 - 중소기업・소규모 사업자는 일본 기업의 99.7%, 고용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지방의 경우, 지역경제에 대한 영향력이 큼


 ※ ’16년 기준 중소기업 소규모 사업자는 357.8만명으로 ’14년에 비해 23.1만명 감소


① 사회 경제구조 변화


- 일본 인구(’15년 1억 2709만명) 는 ‘50년까지 약 1억 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며, ’65년까지 50년간 약 30%의 인구가 감소할 전망


- 글로벌화로 인해 일본 기업의 수출 및 대외직접투자 등 해외사업 확대와 인바운드 수요 증가


② 기술변화


- AI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으로 공급 및 수요의 매칭이 가능해 졌으며, 이러한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포머 출현


3-1.PNG



③ 가치관 변화


- 최근 30여년간 물질적 풍요에서 마음의 풍요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했으며, 최근 사회에 대한 기여를 중시하는 분위기 고조


○ 따라서 중소기업이 당면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향후 방향성을 제시


- 최근 사회・경제구조, 기술, 가치관 등의 변화에 대한 대응과정의 노력이 중소기업간 격차를 확대시킬 전망


- 중소기업의 액션플랜으로 경영자 주도의 외부인재 및 기술 적극 활용 방안, 업무방식의 다양화 및 차세대 세대교체・M&A를 통한 경영자 교체가 필요


3-2.PNG


○ 또한, 향후 새로운 도전과제로 IT화, 공유경제 등의 확대로 프리랜서・겸업, 소셜벤처 및 플랫폼 대두 등 새로운 과제 출현 등이 부상


- 개인전문가 등 새로운 정책 대상 검토, 중소기업 플랫폼 활용 방안 촉진, 중소기업의 기능 재정립 등이 필요


3-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