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인더스트리 4.0 핵심 테마별 R&D 수요 도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독일공학한림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9-27
- 등록일 2020-01-10
- 권호 158
□ 독일 공학한림원 연구위원회(Research Council)는 인더스트리 4.0과 독일 혁신 시스템 확립을 위한 핵심 테마별 R&D 수요 도출(’19.9.)
* Industrie 4.0: Forschungsbeirat nennt die wichtigsten Themenfelder der nächsten Jahre
○ 독일은 글로벌 경쟁에서 선두에 있으며, 인더스트리 4.0 솔루션의 선도적 시장으로서의 역할을 통합하는 것이 중요
- 인더스트리 4.0의 실현을 위한 테마로 다음과 같이 4대 분야 선정하고, 핵심기술 개발 외에 기존 제조 및 업무 프로세스가 가진 잠재력의 최적화 강조
-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모델, 디지털 생태계와 플랫폼 개발 장려, 사회-기술 문화와 각종 법률・규제 대응 중요
1)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가치 창조 시나리오
- 제품-서비스 시스템을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소비자 효용과 통합을 제공하는 하나의 패키지 개념으로 변환
< 테마별 대표적 연구개발 수요 >
구분 | 세부 주제 | 연구개발 수요 |
1 | 제조 및 서비스 가상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가치 제공 | ・통합형 제품-서비스 시스템 개념의 새로운 컴포넌트와 제품개발을 위한 컨셉, 방법론 및 지원도구 개발 |
2 |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모델 및 데이터 기반 수익창출 | ・알고리즘을 통한 수익생성 방법론 및 자율가격산정 알고리즘 ・데이터 상호교환에 기반한 새로운 가치창출 모델 ・사용자 집약적 비즈니스 모델 |
3 | 가치창조 아키텍처 추가 개발 | ・디지털 생태계 내 유연하고, 동적인 가치 개발, 가치사슬 내 ‘디지털 트윈’ 강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직 변화와 재구성 ・현재 표준을 준수하면서 개방성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디지털 플랫폼 아키텍처 개발 |
4 | 지속가능한 경영 전략 개발 및 구현 |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관리 제품과 서비스 모델링/시뮬레이션 ・ 비즈니스 관리 최적화 기법, 가상 모델링 등 |
5 | 가치사슬 및 디지털 원장기술 내 스마트 계약 지속가능성 확보 | ・스마트 계약기술 자동화 컨셉 및 방법론, 가상화폐 비즈니스 모델 연구, 관련 규제 검토 |
2) 기술 트렌드 관점
- 자율조직, 자율최적화, 시스템 아키텍처 자율성/안정성 등을 실현
<테마별 대표적 연구개발 수요 >
구분 | 세부 주제 | 연구개발 수요 |
1 | 유연하고 모듈화 된 생산 시스템 및 관련 시스템 아키텍처 | ・고도화된 시스템 자율성에 대응하기 위한 고 수준 관리 기법 ・유연성, 안정성, 최적화 결과 공유를 위한 디지털 모델 |
2 | 인공지능 및 자율화 기술 | ・모델 기반 기법과 데이터 기반 기법을 혼용한 하이브리드 솔루션 ・고성능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술 평가도구 개발 |
3 | 센서・액추에이터 시스템 | ・센서 기술 범용화 및 경제성 연구 ・디지털 트윈을 위한 센서와 액추에이터 자가분석 강화 옵션 |
4 | 통신 기술 | ・미래 스마트 시스템을 위한 통신기술 표준 ・데이터 전송 신뢰성 및 인프라 유지 실시간 기능 보안 |
3)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과 도구
- 인더스트리 4.0 솔루션 전략 기획・테스트・엔지니어링・운용
< 테마별 대표적 연구개발 수요 >
구분 | 세부 주제 | 연구개발 수요 |
1 | 인더스트리 4.0 솔루션 전략기획 | ・인더스트리 4.0 가치 창조 모델 기획 및 실제 업무환경에 가능한 모듈형 시스템 |
2 | 인더스트리 4.0 솔루션 테스트 | ・개방형, 사이버-물리시스템 실험용 플랫폼 기획 및 개발 ・프로젝트형 테스트 툴킷 개발 |
3 | 인더스트리 4.0 솔루션 엔지니어링 | ・복잡계 시스템용 시스템 패러다임 고안 ・실용화를 위한 기술이전 방법론 |
4 | 인더스트리 4.0 솔루션 운용 | ・측정 데이터 분석결과 통합을 위한 메타 모델 ・제품, 공장, 프로세스 영역간 정보교환 모델 ・시스템 재배치, 재조정 등을 위한 적응형 자동화 솔루션 |
4) 근로 및 사회
< 테마별 대표적 연구개발 수요 >
구분 | 세부 주제 | 연구개발 수요 |
1 | 데이터 보호 및 보안 | ・통합형 제품-서비스 시스템 개념의 새로운 컴포넌트와 제품 개발을 위한 컨셉, 방법론 및 지원도구 개발 |
2 | 새로운 사회-기술 및 | ・직무, 기능, 숙련도, 지위에 맞는 영역별 사회-기술 요구사항 개발 |
3 | 직무 및 교육훈련 체계 재정비 | ・실무 및 개인 직무능력에 맞는 학습체계 개발 ・저숙련 근로자에 맞춘 디지털・스마트 교육 솔루션 |
4 | 새로운 근로문화에 대한 적응과 변화 적극 장려 | ・저평가된 독일의 숙련근로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전략 수립 ・새로운 형태의 업무 참여방식 개발 |
5 | 사회-정책 대화 확대 | ・저숙련 근로자를 위주로 한 고용 환경 변화가 가져올 기회와 위협 파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