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독일, 과학-산업간 협력 이슈 및 성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유럽경제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9-12-01
- 등록일 2020-01-30
- 권호 159
□ 최근 유럽경제연구소는 과학-산업간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교류 현황을 분석*(’19.12)
* Knowledge Flows between Science and Industry and How to Measure Them
○ 최근 혁신을 위한 지식교류 관련 핵심 키워드로 개방형혁신, 클러스터・플랫폼, 파괴적 혁신, 국제화 등을 주목
1) 개방형 혁신
- 기업은 외부와의 지식공유를 통해 구조적 한계 극복 및 외부 지식의 효율적 흡수로 혁신 프로세스 연계가 가능
- 대학교와 공공 연구기관은 개방형 혁신을 통해 산업 혁신을 직접적으로 연계
2) 클러스터와 플랫폼
- 디지털 플랫폼과 개방형 과학연구의 확대에 따라 지식 및 기술 유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한 지식 이전 촉진
3) 파괴적 혁신
- 첨단기술은 시장변화와 기업과 소비자간 상호작용을 변화시키는 기회로, 전통적 경로 외에도 새로운 지식 이전 형태가 필요
4) 국제화
- 갈수록 기업의 지식 획득 활동 수준은 높은 글로벌 수준을 요구
- 이러한 변화는 과학계에도 큰 자극이 될 것이며, 과학계와 산업계의 보다 긴밀한 상호작용의 동인이 될 것
○ 과학계와 산업계의 지식 공동 창조 활동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로, 대학교-민간기업, 과학계-산업계의 공동 특허출원은 꾸준히 증가 추세
○ 설문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13%가 과학계와의 협력활동 중이며 그 중 R&D 집약형 제조 부문(35.9%)과 지식집약 서비스(17.1%)가 높게 집계
- 혁신 지향성이 높은 기업 일수록 과학협력의 가능성도 높음
- 출연(연), 대학교에서는 다양한 지식 교류 채널이 있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경로가 비공식적 교류로 나타남
※ 응답 기업의 64%가 개인적 인맥을 활용하여 연구소 대학교 소속 연구자와 교류하고 있으며 그 효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