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블록체인' 활성화 지원 확대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코인텔레그래프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1-08
  • 등록일 2020-01-30
  • 권호 159



□ 자국 통신사 및 금융기관과 블록체인 기반 네트워크 구축


중국 정부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네트워크(区块链服务网络)’를 내부 스트를 진행한 뒤 금년 4월부터 정식 운영할 예정


  ※ BSN: 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6-1.PNG


 - BSN은 통신과 에너지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중국 국영정보센터(国家信息中心),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 유니온페이(银联) 등이 참여


 - 통합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여 블록체인 운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물리적 서버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입할 필요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배포운영할 수 있는 점이 특징


 - 또한 온디맨드(On-Demand) 공유 서비스를 통해 앱 게시자의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것이 강점


  ※ 모바일 기술 및 IT 인프라를 통해 소비자의 수요에 즉각적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활동


 - 향후 전국 규모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기존 네트워크 자원과 도시별 데이터 센터를 활용하여 전국 도시 공공 노드를 구축할 계획


 - 이를 통해 개발기획운영호환관리감독 등 비용을 낮춰 블록체인 응용과 대중화를 촉진하여 스마트시티, 디지털 경제발전과 같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신뢰성을 더하고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


 - 중국 정부는 BSN을 상용화하여 지역 간 공공 인프라 네트워크로 블록체인 기술 확산을 촉진하며 기술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한편 ’19.10월부터 중국 항저우에서 내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400개 기업과 600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베타 버전을 제공

  ※ 항저우시 샤청區는 전자정부서비스 개선을 위해 만든 AI 기반 플랫폼 ‘시티브레인(City Brain)’에 BSN 플랫폼을 적용(’19.12)했으며 ‘시티브레인’에서 제공하는 원스톱(One stop) 전자정부 서비스, 샤청區 내 호텔 소독 여부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 등에 BSN 플랫폼을 활용

블록체인 기술의 특허 출원 과정도 간소화 하며 실질적인 블록체인 산업 육성


○ 중국 내 산업재산권 보호와 육성을 담당하는 국가지식산권국(国家知识产权局)은 블록체인, AI, 빅데이터, 비즈니스 규칙・방법에 관한 특허출원 지침서 개정안 발표

 - 2.1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개정안은 특허 출원 절차의 구체와 및 간소화를 지향하며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 노드 통신 방안 및 장치 제안’ 등을 포함

 - 블록체인 노드 연결 전 CA 인증서 및 사전 설정된 명단에 따라 연결 여부를 결정하여 이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줄이고 블록체인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

 - 일각에서는 이번 개정안이 특허출원 절차의 구체화, 간소화를 통해 블록체인과 같은 신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직접적인 지원책으로 분석

- 또한 지식재산권 보호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중국의 전략적 방향도 함께 반영한 것으로 풀이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