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지식·기술 기반 산업 현황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연방회계감사원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9-12-05
  • 등록일 2020-02-28
  • 권호 161

NSF 국립과학공학통계센터는 지식·기술기반 산업의 현황을 발표*(’20.1.)
 

  * Production and Trade of Knowledge- and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es
 

○ ’18년 기준, 전 세계 GDP 대비 지식·기술기반 산업의 비중은 약 12%이며, 그 중 중국이 약 1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지식·기술기반 산업이란 항공우주, 컴퓨터·전자·광학·바이오제약, 연구개발 서비스, 소프트웨어·출판산업 등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높은 산업을 의미

 - 연구개발 의존도가 가장 높은 산업의 국가별 비중을 보면, 미국은 ’05년 대비 점점 감소하여 32%대에 그친 반면, 중국은 ’05년 7% 수준이던 비중이 ’18년 20%로 급


부상하여 최근 지식·기술기반 산업의 강국으로 부상

 - 한국과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국가에서도 다소 증가하기는 하나, 여전히  11% 수준에 그침


1-1.PNG


산업 부문별로 보면, 국가별 강세를 보이는 산업에 차이가 나타남

 - 미국은 항공우주, 소프트웨어, 출판 산업이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50%, 58%의 점유율을 보임

 - 중국은 컴퓨터·전자·광학 산업에서 세계 최고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바이오·제약 부문에서 미국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 

 - 가장 주목받고 있는 컴퓨터·전자·광학 산업의 전 세계 수출량 비중을 보면, 중국이 ’15년 전 세계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가가치는 28%에 해당함

 - 한국은 컴퓨터·전자·광학 산업에서 수출량과 부가가치가 모두 10%대를 기록

1-2.PNG


급부상하고 있는 AI 기술 관련 국가 간 경쟁에서 중국의 논문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 IF)가 ’01년도 대비 ’17년 2배로 도약(0.5→1)

 -동 기간 유럽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미국은 감소

 -미국과 중국의  벤처캐피탈 투자액은 8년(2010~2018) 만에 모두 기하급수적으로 확대
   

  ※2010년대 초반부터 가속화된 미국에 비해 2010년 후반에 뛰어든 중국의 투자 규모는 미국을 위협적으로 추격하고 있음


1-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