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학술대형연구 마스터플랜 2020」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학술회의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1-30
  • 등록일 2020-02-28
  • 권호 161

일본 학술회의*는 제24기 「학술대형연구계획에 관한 마스터플랜 2020」을 발표(’19.12.)

   * 일본커뮤니티의 대표적인 학술회의가 일본 대형연구계획의 방향성에 대한 지침을 제시

○일본학술회의 학술대형연구계획 분과회는 학술적 의의가 높은 대형연구를 체계화하기 위해 올해 24기 학술대형연구 마스터플랜을 수립

 -’10년 최초로 마스터플랜 채택 이후, 3년마다 정기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문부과학성의 관련 정책 로드맵 수립 시 참고자료로 활용

 - 과학자 커뮤니티의 주도면밀한 합의하에, 장기적(5~10년, 그이상)으로 추진되고 예산 총액이 수십 억엔의 규모를 가진 ‘대형시설계획’과 ‘대규모 연구계획’으로 구성

 - (대형시설계획) 대형 연구시설이나 부수적 설비를 건설하여 운용함으로써 과학을 연구하는 계획

 - (대규모 연구계획) 과학자 커뮤니티가 요구하는 과제에 많은 연구진을 투입하거나, 대규모 데이터를 구축하여 이용하는 연구계획 

마스터플랜 2020에서는 구분Ⅰ(146건), 구분Ⅱ(15건)의 학술대형연구계획을 선정하였으며, 그 중에서 31건의 중점 대형연구계획을 선정 
  

  ※ (구분 Ⅰ) 신규제안 및 마스터플랜 2017에 게재되어 이번에 개정된 제안(구분 Ⅱ) 과거 마스터플랜에 게재되어 현재 실시중인 계획 

 - 연구계획은 연구·교육기관장, 일본 학술회의 회원·제휴회원, 연구협회장 등에 의해 제안

 - 평가는 ① 계획의 학술적 의의, ② 과학자 커뮤니티 합의, ③ 계획 실시주체의 명확성, ④ 계획 타당성, ⑤ 공동이용체제 충실도, ⑥ 사회적가치, ⑦ 대형연구계획으로서의 적합성 관점에서 실시

학술대형연구계획 중 특히 우선순위가 높은 계획은 ‘중점대형연구계획’으로 선정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신속하게 추진될 예정

- 과학자 커뮤니티 Bottom-up 프로세스에 의해 수립된 마스터플랜 2020은 다양한 학문의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일본 내 과계부처, 대학, 연구기관 등에 구체적인 시책 및 예산조치에 활용되도록 권장

3-1.PNG


3-2.PNG



배너존